도시바, 반도체 인수후보로 SK하이닉스 등 한미일 연합 선정

도시바, 반도체 인수후보로 SK하이닉스 등 한미일 연합 선정

입력 2017-06-21 13:26
업데이트 2017-06-21 1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는 28일 최종합의, 내년 3월 매각 마무리 예정…WD 강력 반발에 주목

일본 도시바(東芝)가 한국 SK하이닉스가 참여한 ‘한미일 연합’ 컨소시엄을 도시바메모리 매각 입찰의 우선 협상자로 선정했다.

도시바는 21일 이사회에서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털 등이 이끄는 컨소시엄을 우선협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컨소시엄에는 베인캐피털을 비롯해 일본 민관펀드인 산업혁신기구, 국책은행인 일본정책투자은행, 한국 SK하이닉스가 참여했다. 그간 베인캐피털과 호흡을 맞춰온 SK하이닉스는 독점금지법 심사 통과를 고려해 출자가 아닌 융자 형태로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 컨소시엄은 인수가로 2조1천억엔(약 21조6천억원)을 제시했다.

도시바는 성명을 통해 “(한미일 연합) 컨소시엄이 가치 측면에서나 임직원 고용승계, 민감한 기술 일본 유지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제안을 내놨다”고 설명했다.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경제산업상도 이번 우선협상자 선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도시바는 오는 28일 매각 협상에 최종합의하며 내년 3월 말까지 매각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컨소시엄 참여업체들의 세부 구성과 지분 비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산업혁신기구와 일본정책투자은행, 베인캐피털이 특수목적회사(SPC)를 만들어 각각 3천억엔을 출자하며 SK하이닉스는 융자형태로 3천억엔 정도를 대는 방안이 검토된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지난 14일 나온 바 있다.

하지만 미국 웨스턴디지털(WD)의 반발이 걸림돌로 남아있다.

도시바와 조인트벤처를 세우고 주력공장인 욧카이치공장을 공동운영해온 웨스턴디지털은 도시바가 자사의 동의를 구해 매각 절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웨스턴디지털은 이날 우선협상자 선정 발표 직후 성명을 내고 도시바가 샌디스크의 동의 없이 조인트벤처의 이익을 제삼자에게 양도할 권리가 없음에도 계속해서 샌디스크의 동의권을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샌디스크는 웨스턴디지털의 자회사다.

앞서 웨스턴디지털은 지난달 15일 국제상공회의소(ICC) 산하 국제중재재판소(ICA)에 매각중지 중재신청을 낸 데 이어 지난 1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캘리포니아 고등법원에 매각 중단 명령을 요청했다. 법원이 웨스턴디지털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이번 입찰은 위기를 맞게 된다.

이 때문에 막판까지 웨스턴디지털을 설득하려는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보고 있다. 앞서 한미일 연합에 웨스턴디지털이 합류할 가능성도 거론된 바 있다.

교도통신은 “독점금지법이나 기술유출 문제 등으로 인해 진용이나 주요 틀은 바뀔 가능성이 있다. 웨스턴디지털은 매각중지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만큼 소송 결과에 따라 백지화할 우려도 있다”고 분석했다.

도시바는 올해 초 미국 원전 자회사 웨스팅하우스의 파산으로 자금난에 빠지면서 반도체 사업 분사 및 매각에 나서게 됐다.

도시바 반도체 사업은 낸드플래시 시장의 2인자로, 많은 기업이 인수에 눈독을 들여왔다.

작년 4분기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7.1%로 1위였고, 도시바가 18.3%로 2위를 차지했다.

이번 입찰에는 웨스턴디지털 외에도 미국의 반도체회사 브로드컴이 유력후보로 베인캐피털 컨소시엄과 경쟁해왔으며, 대만 훙하이(鴻海·폭스콘)도 거액을 베팅하며 입찰에 참여했다. 일본의 기술 유출 우려 때문에 경쟁에서 밀려난 것으로 전해진 훙하이 측은 입찰과정이 불공평하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