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할리우드 종사자 94%가 당한 성희롱·성폭력 유형

‘미투’ 할리우드 종사자 94%가 당한 성희롱·성폭력 유형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8-02-22 09:12
업데이트 2018-02-22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세계적인 ‘미투 운동(성범죄 피해 사실을 밝히며 심각성을 알리는 캠페인)’의 시작이 된 할리우드 연예산업 종사자 10명 중 9명이 “어떤 형태로든 한 번 이상의 성희롱·성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할리우드 종사자 94% 성희롱 성폭력 경험
할리우드 종사자 94% 성희롱 성폭력 경험 타임 ‘올해의 인물’에 미투 촉발 ‘침묵을 깬 사람들’
표지 사진에는 영화배우 애슐리 주드, 우버 엔지니어였던 수전 파울러,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 등이 포함됐다.
미 일간 USA투데이는 22일(한국시간) 국립성폭력지원센터와 함께 할리우드 연예산업 종사자 8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성희롱·성폭력의 유형(복수응답)은 원하지 않는 성적 농담과 제스처(87%), 불쾌한 성적 언급을 경험하는 다른 사람을 지켜보는 것(75%), 성적인 방식의 접촉(69%), 고용주·감독자로부터의 성적인 접근 또는 이를 지켜보는 것(65%), 성적 행위 또는 성관계 제안(64%), 동의없는 성적 사진의 노출(39%), 타인의 신체 노출(29%) 등이 있었다.

또 강제적인 성행위 요구(21%)과 오디션 현장에서의 예상치 못한 노출 명령(10%) 등도 포함됐다. 응답자의 21%는 연예산업에 종사하면서 적어도 한 번 이상 성적인 행위를 하도록 강요받았다고 답했으며, 성희롱 사실을 폭로하고 난 뒤 자신의 근무 여건이 개선됐다고 응답한 경우는 28%에 불과했다.

이 설문은 지난 수개월 간 우마 서먼, 로즈 맥고언, 기네스 펠트로, 애슐리 주드, 셀마 헤이엑 등 여러 여배우들은 제작자 하비 와인스틴과 같은 사람들에게 당한 성폭력 증언을 했지만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성추행·성희롱이 자행되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매체는 지적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