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톈궁1호 대기권 진입…마찰열로 파편 대부분 소멸”

中 “톈궁1호 대기권 진입…마찰열로 파편 대부분 소멸”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4-02 10:17
업데이트 2018-04-02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낙하 지점은 남태평양 중부지역”

톈궁 1호에 우주위험위기경보 발령
톈궁 1호에 우주위험위기경보 발령 톈궁 1호.
중국국가항천국(CNSA)
중국 당국은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1호’가 2일 오전 8시 15분께(현지시간) 지구 대기권에 진입해 파편 대부분이 마찰열에 소멸됐다고 밝혔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우주선 공정판공실(CMSEO)은 베이징우주비행통제센터와 유관 기구의 분석 결과 톈궁 1호가 이날 대기권에 진입했으며 이 과정에서 파편 대부분이 타버렸고 추락 지점은 남태평양 중부라고 발표했다.

앞서 중국 당국은 톈궁 1호의 큰 파편이 지구 표면으로 떨어질 확률이 낮다고 밝힌 바 있다.

CMSEO는 톈궁 1호가 조만간 추락할 것으로 알려지자 지난달 14일부터 주(周) 단위로 보고하던 톈궁 1호 궤도 상황 보고를 일(日) 단위로 변경해 추적해왔다.

그러나 언론의 보도와 각국 발표 내용이 일부 다른 부분도 있어 톈궁 1호의 파편이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곳곳에 퍼져나갔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 합동우주작전본부(JSPoC)는 톈궁 1호의 추락 지점은 남태평양 영역이며 칠레 앞바다에 해당하는 남위 13.6도, 동경 195.7도 지점이라고 확인했다.

일부 외신은 톈궁 1호의 추락 지점이 남태평양 중부가 아닌 브라질 상파울루나 리우데자네이루 근처 해안이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도 했다.

톈궁 1호는 중국이 쏘아 올린 실험용 우주정거장으로, 2011년 9월에 중국 주취한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후 인공위성 및 유인우주선과 도킹하는 임무와 우주인 체류 실험 임무를 수행해왔다.

발사 당시 질량은 8.5t, 길이는 10.5m, 직경은 3.4m였고 약 7m×3m 크기의 태양전지 패널 2개와 부피 15㎥인 거주 실험용 모듈, 궤도 랑데뷰 및 도킹 실험용 모듈이 달렸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톈궁 1호의 추락이 전 세계 관심을 받는 것에 대해 “우주선의 대기권 재진입은 일상적인 것으로 톈궁 1호가 지나치게 주목을 받는 것은 일부 서구 국가가 급속히 발전하는 중국 우주 산업을 과장하거나 비방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비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