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숙소, 세인트리지스호텔로 낙점된 듯

김정은 숙소, 세인트리지스호텔로 낙점된 듯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8-06-08 22:32
업데이트 2018-06-08 23: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창선 싱가포르 재입국… 호텔 점검

北외교관사 취재 KBS기자 한때 억류
靑 “취재진 각별히 주의해 달라” 당부
이미지 확대
세인트리지스호텔에 비상용 발전기 설치
세인트리지스호텔에 비상용 발전기 설치 오는 12일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 기간 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숙소로 떠오른 싱가포르 시내의 최고급 호텔인 세인트리지스호텔 주변에 현지 관계자들이 비상용 발전기를 설치하고 있다.
싱가포르 연합뉴스
오는 12일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과 실무협의를 진행했던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싱가포르에 재입국한 뒤 세인트리지스호텔에 북한실무팀 차량을 타고 모습을 드러냈다. 그동안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기간 중 숙소가 유력하게 거론됐던 마리나베이 인근의 풀러턴호텔이 아닌 세인트리지스호텔로 낙점된 것으로 보인다.

8일 현지언론 스트레이츠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서 싱가포르로 돌아온 김 부장은 이날 0시 30분 세인트리지스호텔에 나타났다. 김 부장은 같은 날 오후 10시 16분쯤 창이국제공항에 내린 뒤 곧바로 이 호텔로 향한 것으로 보인다.

김 부장의 출현에 맞춰 세인트리지스호텔 근처의 보안은 대폭 강화됐다. 호텔 직원들은 전날 오후 4시 30분부터 호텔 주차장에 보안카메라를 추가 설치했고, 싱가포르 경찰도 호텔 주변에 이동식 폐쇄회로(CC)TV 수십개를 설치했다.

세인트리지스호텔은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당시 대만 총통의 ‘양안(兩岸) 정상회담’ 당시 시 주석이 묵었던 곳이다. 2007년 개관한 이 호텔의 객실은 299개로 20층 꼭대기에 최고급 객실인 ‘프레지덴셜 스위트’가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숙소로 거론되는 샹그릴라호텔과 세인트리지스호텔은 직선거리로 약 570m 떨어져 있다.

한편 싱가포르 정부의 언론 통제가 한층 강화된 가운데 한국 기자가 북한 측에 억류되는 돌발 사건도 발생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싱가포르에서 KBS 기자가 북측에 한때 억류되는 일이 발생했는데 (취재진이) 각별히 주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해당 기자는 전날 북한 외교 관사를 찾아가 문을 두드리다가 억류당했고, 이후 북한 측의 신고로 싱가포르 경찰에 인계됐다. 북·미 회담 개최지가 싱가포르로 확정된 이후 한국 취재진이 현지에서 체포 혹은 구금된 사례는 총 5건으로 알려졌다. ‘국경없는기자회’가 지난 4월 발표한 세계 언론자유지수에서 싱가포르는 조사대상 180개국 중 151위를 기록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8-06-09 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