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발 싱가포르행’ 항공기…中상공서 편명 바꾸기 ‘007작전’

‘평양발 싱가포르행’ 항공기…中상공서 편명 바꾸기 ‘007작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6-10 11:13
업데이트 2018-06-10 1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적지도 베이징→싱가포르 수정…이동경로 감추려 새벽 운항 등 ‘연막작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미 정상회담을 위해 10일 싱가포르에 도착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이 김 위원장의 동선을 감추기 위해 스파이 영화를 방불케 하는 고도의 ‘작전’을 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에서 임차한 것으로 추정되는 항공기의 편명과 목적지가 갑작스럽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항공기 경로 추적사이트인 플라이트레이다24에 따르면,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소속 중국 고위급 전용기인 CA121편(보잉747-4J6)은 이날 오전 4시18분(중국시간 기준) 세간의 눈을 피해 베이징에서 평양으로 향했다.

이 항공기는 오전 6시20분(북한시간 기준)께 평양에 도착한 뒤 오전 8시 30분께 CA122란 편명으로 평양 공항에서 이륙했다.

싱가포르 정부가 10일 오후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차례로 싱가포르에 도착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이 항공기에는 싱가포르로 향하는 김 위원장이 탑승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CA122편은 약 20분 간 목적지를 공개하지 않은 채 운항을 하다가 갑자기 목적지를 ‘베이징’으로 공개했다.

베이징으로 향하던 CA122편은 이륙 후 1시간가량이 지나자 베이징 상공에 들어왔고, 홀연 항로 추적사이트에서 자취를 감췄다.

잠시 뒤 사라졌던 CA122편은 새로운 편명을 단 채 다시 베이징 상공에 모습을 드러냈다.

CA122편은 새로운 편명인 CA61으로 이름을 바꾸었지만, 변경이 불가능한 항공기 시리얼 넘버는 ‘25883’는 그대로였다. 목적지 역시 베이징에서 싱가포르로 변경된 상태로 확인됐다.

김 위원장의 동선 노출을 꺼린 북한이 이례적으로 비행 도중 관체 콜사인인 ‘편명’을 바꾼 셈이다.

베이징 소식통은 “북한 입장에서는 정상회담에 제3국의 항공기를 빌리는 것과 최고 지도자의 안전을 위해 이동 경로 등을 공개하는 것을 꺼렸을 것”이라며 “새벽시간 항공기를 이동하고, 비행 도중 항공기 편명을 바꾼 것은 일종의 연막작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