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싱키가 미·러 정상회담의 장소된 이유

헬싱키가 미·러 정상회담의 장소된 이유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6-29 15:16
업데이트 2018-06-29 15: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과 러시아의 중재자 핀란드, 냉전시대 동서 길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 장소로 핀란드 수도 헬싱키가 선택된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달 16일 인구 550만명의 작은 북유럽 국가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은 여러 차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열리는 첫 회담인데다 두 나라가 2014년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반도 병합, 그 이후 러시아의 미 대사 개입 의혹, 시리아 내전 등을 둘러싸고 날선 대립속에서 냉전 이후 최악의 갈등을 겪어왔다.

이런 상황에서 양측이 헬싱키를 선택한 것은 이곳이 중립지역으로서, 미러 두 나라와 모두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고, 또 오랫기간 미국과 러시아 간 정상회담을 열어온 전통이 있었기 때문이다. 냉전시대 핀란드는 중립적인 완충국가였다. 수도 헬싱키는 동구 공산권과 서구 자유진영의 길목 역할을 했다. AP통신도 28일(현지시간) “핀란드는 오랫동안 미국과 러시아 간 정상회담을 개최한 전통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1975년 7월 30일부터 사흘동안 헬싱키는 미·소정상회담은 물론 미국, 소련과 알바니아를 제외한 유럽국가(33개국) 등 35개국이 참가하는 국제회의와 그 결과로 나온 협약인 헬싱키 협약으로 유명하다. 이 회의는 유럽에서 전후 냉전의 전환점을 마련했고, 유럽 안보 및 인권의 원칙을 천명했다.

핀란드의 우르호 케코넨 전 핀란드 대통령은 당시 제럴드 포드 미 대통령과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회담을 주선하는 등 중재자로서 활약했다.

1980년대 핀란드는 소련 등 동구권으로 가기 전 관련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미 고위급 관리들에게 중요한 지역이 됐다. 실제 1988년 5월 당시 로널드 레이건 미 대통령은 소련으로 가기 전 헬싱키를 찾아 마우노 코이비스토 핀란드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다.

핀란드는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1991년 옛 소련 연방이 붕괴된 뒤 미·러와 동등하게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 이런 관계를 바탕으로 1990년 9월 핀란드에서는 미·소 정상회의가 다시 열렸다. 당시 조지 H.W. 부시 미 대통령과 옛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인 미하일 고르바초프 러시아 대통령이 만나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중동상황 등에 대해 논의했다.

또 1997년 3월에는 빌 클린턴 미 대통령이 헬싱키에서 보르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옛 소련연방 국가들에 대한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확장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이런 중재자로서의 핀란드와 헬싱키는 2차 세계대전 이후 핀란드가 모스크바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실용적 노선을 추구하면서 쌓아올린 중립적인 노력과 무관하지 않다. 현재도 사울리 니니스토 핀란드 대통령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워싱턴을 방문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만나는 등 양측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해 왔다.

지금의 핀란드는 이렇게 미·러 사이의 중립적인 중재자적 지위를 쌓아놓고 있지만, 근현대사에서는 러시아와 잇딴 전쟁을 겪으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핀란드는 1155년 스웨덴 왕국에 식민지가 됐다가 1809년 러시아에 복속되기도 했다. 1917년 러시아혁명의 와중에서 독립했고, 1918년 공화국으로 독립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핀란드는 지난 수세기 동안 러시아와 수십 번의 전쟁을 치렀다. 현대에 와서는 1939~1940년과 1941~1944년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소련과 두 차례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현재 러시아와 1340㎞의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강대한 푸틴의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 중립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