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폐지’ 트윗으로 피소당한 머스크, 테슬라 이사회 의장 물러나기로

‘상장 폐지’ 트윗으로 피소당한 머스크, 테슬라 이사회 의장 물러나기로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8-09-30 09:13
업데이트 2018-09-30 09: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테슬라를 상장 폐지하겠다는 트윗을 올려 투자자를 기만한 혐의(증권사기)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고소당한 일론 머스크(47)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겸임해오던 이사회 의장직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SEC는 29일(현지시간) 머스크와 테슬라가 각각 2000만 달러(약 222억원)씩 벌금을 내고, 머스크가 이사회에서 물러나는 것을 조건으로 현재 제기된 고소 사건에 관해 합의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SEC가 뉴욕 남부 연방지접에 고소장을 제출한 지 이틀 만에 이뤄진 합의다.

머스크는 45일 안에 이사회 의장직에서 사임해야 하고 향후 3년간 다시 의장으로 선출될 수 없다.

이번 합의에 따라 테슬라 법인과 머스크는 범법행위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8월 8일 트위터에 “테슬라를 비공개회사로 전환”(taking Tesla private)하겠다면서 “자금이 확보돼 있다”(funding secured)는 내용의 ‘폭탄 트윗’을 올렸다.

이후 테슬라 주가는 크게 요동쳤다. 테슬라 이사회는 머스크의 제안을 검토한다고 밝혔으나 주주들의 반대가 이어지자 머스크는 3주 만에 비상장 전환 계획을 백지화했다.

머스크의 트윗 관련 의혹을 조사해온 SEC는 최근 “머스크가 거짓되고 오도하는 언급을 함으로써 기업의 자산관계를 관할하는 규제기관에 적절한 고지를 하는 데 실패했다”며 지난 27일 고소장을 냈다.

고소 다음날인 28일 테슬라 주가는 하루에 13.9%나 폭락했다. 2013년 이후 최악의 급락 흐름을 보였다.

월가에서는 테슬라 주가가 130달러 선까지 떨어져 반토막 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머스크는 SEC의 고소에 대해 자신의 ‘자금줄’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측과 구두계약을 맺은 것으로 믿고 그런 트윗을 한 것일뿐 투자자를 기만할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날 보도했다.

SEC의 집행분과 공동국장인 스티븐 페이킨은 성명에서 “합의의 결과로 머스크는 이제 더는 테슬라 의장이 아니다. 테슬라 이사회는 중요한 개혁 조처를 채택할 것이다. 그중에는 머스크가 투자자와 소통하는 것을 감독하는 의무도 포함된다”라고 말했다.

SEC는 테슬라 이사회의 감독 의무 부과가 향후 추가적인 시장 교란 행위와 주주에 대한 위해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합의에 따라 테슬라는 두 명의 독립 이사를 선임하게 된다. 최고경영자인 머스크의 영향력을 받지 않는 실질적인 독립이사회를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 애널리스트 벤 칼로는 블룸버그에 “이번 조치는 테슬라 주주들을 위해 훌륭한 결의안이 될 것”이라며 “테슬라 주식이 펀더멘털에 초점을 두는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리라 본다”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