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자위대 사이버 방위력 강화 위해 억대연봉 해커 채용키로

日, 자위대 사이버 방위력 강화 위해 억대연봉 해커 채용키로

입력 2018-10-22 10:28
업데이트 2018-10-22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이버 공간은 새로운 ‘전장’…맬웨어 감시, 민간 기업에 위탁

일본 정부가 자위대의 사이버 방위 능력 강화를 위해 민간의 화이트해커를 채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일본 방위성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방위성 [연합뉴스 자료사진]
방위성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위를 담당할 인재로 고도의 관련 기술과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임기제로 채용할 방침이다.

화이트해커 등 정보기술(IT) 인재를 5년 이내의 임기에 차관급 급여인 연봉 2천만엔(약 2억30만원) 이상의 특급 대우로 채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일본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중국과 북한 등의 위협이 거세지고 있지만 자국의 사이버 방위 능력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과 북한은 각각 10만명과 7천명 규모의 사이버 부대를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사이버 공격으로 전력이나 철도 등의 인프라가 마비되는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해 사이버 분야를 새로운 ‘전장’으로 정의하고 사이버 방위 능력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에 따라 110명이던 자위대의 사이버 방위대 인원을 연말까지 150명으로 늘리고 이를 다시 내년 중 220명으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 내 인력만으로는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사이버 방위 능력을 높이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따라 사이버 방위대의 일부 업무를 외부에 위탁해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맬웨어(악성 프로그램)의 감시와 분석을 민간 기업에 맡겨 민간인 5~10명으로 구성된 팀을 방위성 안에 상주시킬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10년간의 방위력 정비 지침인 ‘방위 대강’에 사이버 방위 강화 방침을 명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사이버 방위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NATO의 대규모 사이버 방위 훈련에 참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