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20~21일 북한 국빈방문…中최고 지도자로는 14년만

시진핑, 20~21일 북한 국빈방문…中최고 지도자로는 14년만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6-17 20:13
업데이트 2019-06-17 2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4차 방중 소식을 10일자 지면에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8일 중국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2019.1.10  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4차 방중 소식을 10일자 지면에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8일 중국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2019.1.10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가열되는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20일부터 21일까지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중련부)의 후자오밍 대변인은 17일 중국 공산당 총서기인 시진핑 주석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겸 국무위원장의 요청으로 20~21일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중국 대외연락부가 맡아 이번 시 주석의 방북이 ‘당 대 당’ 교류의 성격임을 시사했다.

후 대변인은 시 주석의 국빈 방문 사실만 알리고 방북 시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중국 공산당 및 국가 최고지도자가 방북한 것은 14년 만에 처음이다.

중국 최고지도자가 북한을 방문한 것은 2005년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의 방북이 마지막이다. 시 주석도 2008년 북한을 방문했으나, 당시에는 국가부주석의 신분이었다.

이번 방북은 북·중 수교 70주년을 기념함과 동시에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김정은 위원장이 무려 4차례나 일방적으로 방중해 시 주석을 찾은 것에 대한 답례 차원으로 보인다.

중련부와 중국 외교부 관계자는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아 이번 시 주석의 방북은 양국 관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 주석은 이번 방북 기간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중 관계 강화 및 북미 비핵화 협상에 중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미·중 무역 전쟁이 고조되고 있어 시 주석이 이달 말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북한 카드’를 꺼낸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중국이 최근 홍콩 시위 사태와 미국의 전방위적인 무역 보복으로 수세에 몰린 상황이라 시 주석으로는 이를 만회할만한 게 중국이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북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 주석이 G20 참석 전에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다시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남북한 상호 방문 전통에 따라 이번에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면 G20 전후로 시 주석이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베이징 소식통은 “시 주석의 방북은 최근 갑자기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최근 미중 무역 분쟁 등 여러모로 미국보다 중국에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