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대수명, 3년연속 줄어 78.6세…약물·자살·비만 등 원인

美기대수명, 3년연속 줄어 78.6세…약물·자살·비만 등 원인

신성은 기자
입력 2019-11-27 15:38
업데이트 2019-11-27 15: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 연구팀 보고서…다른 고소득 국가들은 꾸준히 증가

미국인들의 기대수명이 다른 고소득 국가와 달리 오히려 더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물 과다복용, 자살, 알코올 관련 질병, 비만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미국 버지니아 커먼웰스대 사회건강센터의 스티븐 울프 교수 연구팀은 26일(현지시간) 미 의사협회 저널(JAMA)에 게재된 ‘미국인들의 기대 수명과 사망률, 1959~2017’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미국 CNN방송이 보도했다.

기대수명이란 갓 태어난 아이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연수를 말한다.

연구진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마련한 미국 사망자 수 데이터베이스(USMDB)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기대 수명은 1959년 69.9세에서 2014년 78.9세로 꾸준히 증가했다. 45년 만에 기대수명이 10살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기대수명은 2014년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소폭 감소해 2017년에는 78.6세로 집계됐다.

기대수명 감소에는 약물 과다복용, 자살, 비만 등의 특정 원인에 의한 25∼64세 성인 사망률이 1990년대 말부터 급격히 증가한 것이 영향을 줬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이 나이대 성인들의 사망률은 1999~2017년 사이 386.5%나 증가했으며, 비만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114% 올라갔다.

만성적 간 질환과 간경변증 등 알코올 관련 질병으로 인한 이들의 사망률도 40.6% 증가했다. 자살률도 38.3% 높아졌다.

연구진은 미국의 기대수명 감소 추세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CDC에 따르면 미국 성인들의 71%가량이 비만으로 분류되는 등 기대수명을 낮추는 핵심 동인들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등 다른 고소득 국가들의 기대 수명은 그간 꾸준히 증가해온 반면, 미국은 1인당 의료 서비스에 지불하는 비용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데도 기대수명이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미국 의사협회 저널에 해당 보고서를 해석하는 기사를 쓴 하워드 고(고경주) 하버드대 보건대학교 교수는 “기대수명 감소가 미래의 ‘뉴노멀’(New Normal)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고 교수는 “많은 요소가 기대수명에 영향을 미친다”면서 “의학적 질병뿐 아니라 소득 불평등과 정신적 고통 등 사회적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건강을 중요시하는 문화를 만드는 데 의료계뿐 아니라 경제계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