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위에 최루탄 회사 떼돈…코로나 확산 일조 논란

미국 시위에 최루탄 회사 떼돈…코로나 확산 일조 논란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6-09 14:52
업데이트 2020-06-09 14: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대가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인근에서 시위를 벌이다 경찰이 쏜 최루가스를 피하고 있다. 2020.6.2.  AFP 연합뉴스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대가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인근에서 시위를 벌이다 경찰이 쏜 최루가스를 피하고 있다. 2020.6.2.
AFP 연합뉴스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대 해산에 사용된 최루탄을 제조한 회사가 지난 3년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1600억원이 넘는 판매 수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

8일(현지시간) 미국 CBS방송은 연방정부 지출 기록을 분석한 결과 최루가스 제조사 ‘사파리랜드’와 유통업체 2곳이 지난 3년 반 동안 정부로부터 1억 3700만 달러(약 1644억원)를 벌어들였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 하에 8300만 달러→1억 3700만 달러
해당 업체들의 과거 정부 판매 수익은 약 8300만 달러(약 996억원)였다고 CBS는 전했다.

정부 기록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지난해 사라피랜드의 유통업체 ‘A2Z 서플라이’로부터 ‘스피드-히트’(Spead-Heat)라는 최루가스 제품 150통을 구매했다. 이 제품은 150피트(약 45m) 거리에서 발사해도 가스를 분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파리랜드 홈페이지에는 스피드-히트를 사람을 향해 직사하지 말라는 경고와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부를 수 있다”는 설명이 나와 있다.

지난주 경찰이 백악관 인근 시위대를 해산한 현장에서도 바로 이 제품이 발견됐다고 CBS는 전했다.

CBS는 “연방기관, 경찰 당국, 외국 정부에 최루가스를 공급하는 산업이 수십억 달러 규모에 이르며 계속 성장하고 있다”면서 “사파리랜드는 이 산업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최루가스, 기침·재채기 유발해 코로나19 확산 위험 높여”
한편 시위대를 향해 최루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헌법에 위배되는 동시에 코로나19 확산 위험을 높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인권단체인 미국시민자유연합(ACLU)은 당국의 최루가스 사용은 시위대의 헌법적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등 정부 당국자들을 고소했다.

자밀 다콰르 ACLU 인권 프로그램 국장은 더 나아가 최루가스 사용이 코로나19 확산 위험을 높인다고 주장했다. 최루가스가 발사되면 시위대가 기침을 하게 되고 마스크를 더욱 벗게 돼 바이러스 전파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미 육군이 2014년 훈련병 67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최루가스 노출과 급성호흡기질환 진단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진행한 조셉 후트는 AP통신에 최루가스는 “기침과 재채기 등 체액이 나오는 증상을 유발한다”면서 “(최루가스 사용 환경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기침을 하면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1000명이 넘는 미 의료진과 학생들은 최루가스 등 호흡기 자극제가 코로나19 확산 위험을 높인다며 사용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공중 보건당국에 보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