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대선시즌에 돌아온 美 SNL

코로나 이후 대선시즌에 돌아온 美 SNL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10-05 16:50
업데이트 2020-10-05 16: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인기 풍자예능 프로그램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가 3일(현지시간) ‘시즌46‘ 방송으로 돌아왔다. SNL은 앞서 지난 3월 코로나 사태로 라이브 방송을 중단했다가 지난 3일 제한된 방청객만 허용한 상태에서 스튜디오 생방송을 재개했다.

대선을 한달 앞두고 7개월 만에 돌아온 SNL은 반럼프 색채를 강하게 드러냈다. 이날 코너는 지난달 29일 있었던 첫 TV 토론전을 패러디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역에 할리우드 배우 알렉 볼드윈,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 역에는 ’천의 얼굴‘을 가진 배우 짐 캐리가 ‘환상의 케미’ 조합으로 등장했다. 알렉 볼드윈은 지난 2016년 대선 당시에도 능란한 패러디로 화제를 모은 바 있다.

개막 나레이션은 “(이번 토론이) 유일한 대선 토론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다시 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미국에 살지 않아도 (토론을) 보는 것도 꽤 재미있었다”고 소개했다. 지난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병원에 입원 중인 트럼프 대통령을 비꼰 소갯말이었다.
3일(현지시간) 방영된 미국 NBC 방송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 쇼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 분장한 배우 알렉 볼드윈(왼쪽)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로 분장한 배우 짐 캐리(가운데),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부통령 후보 역의 마야 루돌프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방영된 미국 NBC 방송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 쇼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 분장한 배우 알렉 볼드윈(왼쪽)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로 분장한 배우 짐 캐리(가운데),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부통령 후보 역의 마야 루돌프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크리스 월러스 사회자 역을 맡은 벡 베넷은 코로나19 대응을 코로나 시험(테스트)에 비유하며 트럼프 역의 알렉 볼드윈에게 “미리 치르기로 한 코비드(코로나) 시험을 봤느냐“고 물는다. 이에 볼드윈은 “당연하다, 스카우트의 명예(를 걸고)”라며 손가락을 꼬고 화답했다.

준비됐냐고 묻는 사회자를 향해 바이든 역의 짐 캐리는 트럼프와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두기 위해 줄자를 사용하며 “1초만”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토론이 시작되자 두 사람은 서로 고함치는 장면으로 일관한다. 트럼프는 “(바이든 편을 드는) 크리스 월리스가 비열하다. 경제가 비열하다. 일자리를 계속 잃고 있다”고 외쳤다. “코로나 대유행은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발언은 이번 주 후반쯤 다시 나를 괴롭힐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자신을 풍자한 발언이다.

이에 바이든은 ”미안하지만 우리 모두 휴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리스니스(트럼프가 없는 상태)에 방점을 찍자”고 제안했다. 쇼 진행자인 크리스 록은 “트럼프쇼를 선거의 날에 끝장내자”고 희극적인 멘트를 날렸다.

이 쇼를 싫어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한때 “SNL은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선까지 매주 토요일 5주간 이어진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