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불자 ‘3차 대유행’… 전세계 확산 1차보다 심각

찬바람 불자 ‘3차 대유행’… 전세계 확산 1차보다 심각

김규환, 이경주 기자
입력 2020-11-16 01:56
업데이트 2020-11-16 0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신 기대감에도 겨울철 감염 ‘폭증’
美·日 일일 신규확진자 최고치 경신
유럽 ‘2차 봉쇄조치’ 확산세 못 잡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간) 대통령 선거 결과가 자신의 패배 쪽으로 기운 뒤 처음으로 공개 연설에 나선 13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코로나19 대책 전망 등을 얘기하고 있다. 워싱턴 DC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간) 대통령 선거 결과가 자신의 패배 쪽으로 기운 뒤 처음으로 공개 연설에 나선 13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코로나19 대책 전망 등을 얘기하고 있다.
워싱턴 DC AP 연합뉴스
코로나19의 전 세계 ‘3차 대유행’이 현실화하고 있다. 북반구가 겨울철에 접어들면서 미국과 프랑스, 일본 등 각국의 신규 확진자 최고치가 연일 경신되는 등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병 초기보다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미국 제약사 화이자 등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90% 이상 효과가 있다는 희소식도 있지만 당장 확실한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만큼 코로나 확진자 폭증에 속수무책일 뿐이다.

국제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전 세계 누적 확진자는 한국시간으로 15일 오후 9시 현재 5444만 6000여명, 사망자는 132만여명에 이른다. 특히 미국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는 지난 13일(현지시간) 18만 7899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 치웠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일주일간 미국인 400명 중 1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보도했다. 텍사스·캘리포니아·플로리다주의 확진자 수가 여전히 가장 많지만 인구 100만명당 감염자로 따지면 노스다코타(8만 2502명)·사우스다코타(7만 2550명)·아이오와(5만 7474명)주 순으로 중북부 지역이 심각하다. 노스다코타주는 환자 급증으로 의료 인력이 부족해지자 코로나19에 감염된 의료인도 증상만 없다면 현장에 투입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적 봉쇄는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1월 20일까지 방역정책의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CNN 등은 오는 26일 추수감사절이 코로나19 확산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럽도 미국 못지않게 상황이 안 좋다. 프랑스는 14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만명을 돌파했으며 누적 확진자 수는 195만 4000여명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중순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지금까지 4만 4000여명이 사망했으며 24시간 내 사망자는 354명에 이른다. 영국은 코로나 2차 봉쇄 조치를 단행했지만 확산세를 줄이기에는 역부족이다. 영국은 지난 12일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전날(2만 2950명)보다 50%가량 늘어난 3만 3000여명으로 집계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국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129만여명과 5만 300여명이다.

아시아 역시 상황이 나쁘기는 마찬가지다. 인도는 일주일 평균 일일 신규 확진자가 4만 5000명을 넘어섰고 일본은 14일 신규 확진자가 1739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하루 만에 경신하면서 사실상 ‘3차 유행’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0-11-16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