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 리우 “‘킬빌’에서 나는 드래곤 레이디였다”…차별 규탄

루시 리우 “‘킬빌’에서 나는 드래곤 레이디였다”…차별 규탄

김정화 기자
입력 2021-05-02 13:33
업데이트 2021-05-02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할리우드 배우 루시 리우
할리우드 배우 루시 리우
미국 내 아시아계 증오범죄가 여전히 이어지는 가운데 헐리우드 유명 배우 루시 리우가 자신이 중국계로서 겪은 일상적인 차별을 토로하며 이에 맞서달라고 촉구했다.

리우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기고한 글에서 배우로서의 자신의 성공이 ‘바늘을 조금 움직인 것’이라며 “200년간 이어진 아시아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뿌리 뽑으려면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썼다.

그는 “미국에서 자라면서 TV, 영화, 잡지 표지 등에 나와 내 가족처럼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며 “이 나라에서 인종에 대한 인식은 반드시 앞으로만 나아가는 건 아니다. 내가 주류로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뒀지만 이는 제한적이고, 가야할 길이 멀다”고 했다.

특히 헐리우드 영화와 드라마 등 미디어 업계가 아시아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어떻게 지속했는지 지적했다. 리우는 “서구권에서 중국계, 아시아계 여성은 순종적인 연꽃 또는 공격적인 드래곤 레이디로 자주 그려진다”며 최근 아시아계 여성에 대한 차별적인 묘사의 문제를 지적한 틴 보그의 기사를 언급했다.

그는 “드래곤 레이디는 아시아 스테레오타입의 하나로 ‘교활하고 기만적인’ 여성으로 그려지는데, 내가 출연한 영화 ‘킬빌’의 주인공 오렌 이시이가 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킬빌’에는 나 외에 여성 킬러 3명이 더 등장한다. 왜 그들은 드래곤 레이디가 아닌가”라며 “그들이 아시아인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리우는 “미국에서 아시아인은 놀라운 역할을 했지만, 우리는 여전히 ‘다른 것’으로 여겨진다”며 “이런 인식은 특정 인종에 대해 구속적인 편견을 강화할뿐 아니라 치명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조 바이든 대통령은 5월을 ‘아시아계미국인·하와이 원주민·태평양제도 주민(AANHPI) 문화유산의 달’로 선포한다고 밝혔다. 바이든은 30일 발표한 포고문에서 “아시아계의 유산과 힘이 아니라면 미국의 역사는 불가능할 것”이라며 “문화와 예술, 법, 과학, 기술, 스포츠, 공직 분야에서 AANHPI 지역사회가 내놓은 귀중한 기여를 기린다”고 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