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 본사 설계한 치퍼필드 프리츠커상 영예

아모레 본사 설계한 치퍼필드 프리츠커상 영예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3-03-09 01:21
업데이트 2023-03-09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가. 베를린 AP 연합뉴스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가. 베를린 AP 연합뉴스
서울 아모레퍼시픽 본사를 설계한 영국의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69)가 7일(현지시간)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했다.

치퍼필드는 “이 상을 건축의 본질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사회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여하라는 격려로 받아들인다”며 “건축가는 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고,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알레한드로 아라베나 프리츠커 건축상 심사위원장도 “치퍼필드 건축의 궁극적인 목표는 공익을 위한 것이기에 그의 건물은 시간의 시험을 견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의 대표작은 19세기 중반 지어졌다가 2차 세계대전 때 파괴된 독일 베를린 신박물관을 리노베이션한 것이다. 치퍼필드는 16세기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마르코광장에 세워진 ‘프로쿠라티에 베키에’의 복원·리모델링 작업, 일본 이나가와 묘지 설계 작업도 했다. 지난달에는 그리스 아테네의 국립고고학박물관 리노베이션 책임자로 선정됐다.

서울 용산의 아모레퍼시픽의 본사 건물도 그의 작품이다. 프리츠커 건축상 위원회는 “아모레퍼시픽 본사 건물은 개인과 집단, 개인과 공공, 일과 휴식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라고 격찬했다.

최영권 기자
2023-03-09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