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서갱유 비판’ 中 메이퇀 창업자 2년 만에 SNS 재개

‘분서갱유 비판’ 中 메이퇀 창업자 2년 만에 SNS 재개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3-09 17:53
업데이트 2023-03-09 1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발언은 AI 벤처 투자 발표…‘中 빅테크의 봄’ 오나

이미지 확대
왕싱 메이퇀디앤핑 창업자. 연합뉴스
왕싱 메이퇀디앤핑 창업자. 연합뉴스
이른바 ‘분서갱유 비판’ 파문으로 소셜미디어(SNS) 활동을 접었던 ‘중국판 배달의 민족’ 메이퇀디앤핑(메이퇀)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왕싱(44)이 SNS를 재개하며 챗GPT 열풍에 가세했다.

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왕싱은 전날 웨이신(중국판 카카오톡)에 메이퇀의 공동 창업자 출신 왕후이원이 최근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투자할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그가 SNS에 글을 올린 것은 2021년 5월 이후 처음이다. 해당 글은 중국 소셜미디어와 트위터를 통해 퍼져 나갔다.

왕싱은 2년 만에 침묵을 깨고 올린 글에서 “챗GPT 같은 AI봇에 필요한 거대언어모델(LLM)의 잠재적 생산성에 전율을 느끼며 그것이 세상에 미칠 영향이 궁금하다”며 과거 동료이자 최측근이던 왕후이원이 설립한 스타트업 광녠 즈와이에 투자할 것이라고 알렸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매체는 “왕싱은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창업자 리옌훙 최고경영자(CEO)에 이어 중국판 챗GPT 개발 계획과 의지를 공개적으로 천명한 기술 거부 대열에 합류했다”며 “지난달 중국 2위 포털사이트 소거우의 왕샤오촨 CEO도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왕싱은 중국이 빅테크에 대한 규제를 본격화하던 2021년 5월 중국 SNS인 판퍼우에 당나라 시인 장갈이 진시황의 분서갱유를 비판하려고 쓴 ‘분서갱’(焚書坑)을 올렸다. 28자로 된 이 한시는 “책 태운 연기가 사라지기도 전에 동쪽 산에서 반란이 일어나니 유방과 항우는 원래부터 책을 읽지 않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아무리 사상을 통제해도 시대의 변화는 막지 못한다는 뜻으로, 중국에서는 종종 체제 비판에 대한 은유로 해석된다.

당시 왕 CEO가 이 시를 빗대 시진핑 국가 주석과 중국 공산당에 불만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에서 ‘분서갱유’는 20세기 문화대혁명 등 지나친 통제에 따른 과오를 상징하는 단어로 쓰이기도 해서다. 왕싱은 해당 글이 논란이 되자 이를 삭제하고 “중국 인터넷 업계 내 치열한 경쟁에 관한 것”이었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을 잠재우지 못했다. 결국 그는 1만 8000개에 달하던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모두 비공개로 전환했다. 얼마 뒤 메이퇀은 34억 4000만 위안(약 6500억원)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