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안내를 받고 있다. 서울신문 DB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는 5월부터 하루 50만 배럴(bpd) 또는 전체 생산량의 5% 미만의 자발적 감산에 돌입가기로 했다. 사우디 에너지부는 “국제 원유시장의 안정을 위해 예방적으로 단행됐다”며 “(감산 기조는) 올해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맏형’격인 사우디의 선언에 아랍에미리트(UAE)도 14만 4000bpd를 줄인다고 발표했다. 이라크(21만 1000bpd)와 쿠웨이트(12만 8000bpd), 오만(4만bpd), 카자흐스탄(7만 8000bpd), 알제리(4만 8000bpd)도 동참했다. 러시아는 지난달 독자적으로 시작한 50만bpd 감산을 연말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그간 설비 부족 등으로 원유 생산 할당치를 채우지 못하던 회원국들은 이번 조치에 참여하지 않는다.
이날 발표된 감산량을 더하면 전 세계 수요의 최대 3.7% 규모다. 지난해 10월 OPEC+ 회의에서 결정된 200만bpd 감산 정책과 별도로 시행되는 조치다. 지난달 국제 유가는 미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여파로 배럴당 70달러 밑으로 떨어지며 2021년 1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로이터는 유가를 최소 80달러 이상으로 끌어 올리려는 목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간 미국은 “OPEC+가 감산 방침을 고수하면 국제 유가가 큰 폭으로 상승해 안 그래도 어려운 세계 경제가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원유 판매 수익을 제한하려는 속내도 담겨 있었다. 지난해 7월 바이든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직접 찾아가 증산을 요청했다. 그러나 OPEC+는 같은해 10월 ‘대규모 감산’으로 화답해 워싱턴 조야를 분노케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추가 감산 조치가 미국과 사우디 간 새로운 긴장을 불러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RBC캐피털마켓의 헬리마 크로프트는 “사우디가 ‘이제 세계는 미국 중심의 단극 체제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신호를 발신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