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플라스틱협약 제4차 정부간 협상위원회(INC4)가 열리는 캐나다 오타와에서 플라스틱 쓰레기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오타와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INC4를 두고 참여단체 간 입장 차가 커 합의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INC는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로 플라스틱 사용을 규제하고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는 국제 조약이다. 올해 11월 부산에서 INC5가 열린다.
유엔에 따르면 하루에 트럭 2000대 분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전 세계 강과 바다로 버려진다. 플라스틱 산업이 온실가스 배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에 달한다. 206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이 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INC3에서 각국 정부는 기업들의 플라스틱 생산량과 원료 화학물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규제안에 지지했다. 자연에 해로운 물질 사용을 줄이는 동시에 생산량 자체도 줄이자는 취지다. 그러나 당시 제안은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중국 등 반대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들은 플라스틱 생산 통제보다 플라스틱 폐기물 통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석유화학업계도 이들 국가를 주장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무부 대변인은 로이터에 “중국은 항상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에 많은 관심을 쏟아왔고 이번 협상에서도 다른 국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석유화학이 주요 산업인 우리나라 역시 분명한 입장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플라스틱 생산 감축이 이번 협약의 핵심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비욘 빌러 국제오염제거네트워크(IPEN) 국제 코디네이터는 로이터에 “더 많은 플라스틱 생산은 곧 더 많은 오염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양측 주장이 첨예하게 맞서자 미국 대표단은 ‘파리협정’과 비슷한 형태의 절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리협정은 기온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해 2도 아래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조약으로, 각국은 해당 목표를 지키기 위한 수단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국제플라스틱협약도 플라스틱 생산량이나 폐기물 해결 등을 각국 정부의 자율에 맡기자는 취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