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경기회복 추진 연준 책무”…QE 유지 시사

옐런 “경기회복 추진 연준 책무”…QE 유지 시사

입력 2013-11-15 00:00
업데이트 2013-11-15 07: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준안 무난히 통과할 듯…공화 일부의원 ‘보류’ 경고

재닛 옐런 차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지명자는 14일(현지시간) 강력한 경기회복을 추진하는 것이 연준의 의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현행 경기부양책을 당장 중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혀 제3차 양적완화(QE3)의 출구전략을 내년으로 늦출 것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옐런 지명자는 이날 상원 은행·주거·도시위원회에서 열린 인준 청문회에 출석, “매우 강력한 회복을 추진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게 (연준의) 맡은 책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금리가 제로(0)인 상태에서 통화정책의 가용 수단이 제한적인데다 경기회복세가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부양책을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인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실업률이 여전히 높고 경제성장세도 둔화하고 있다고 지적한 뒤 “연준은 경제성장과 고용시장 개선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를 계속할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국채와 주택담보부채권(모기지채)를 매달 850억달러 어치 사들이는 연준의 현행 3차 양적완화 조치를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그는 앞서 전날 제출한 서면답변서에서도 “경기부양적 통화정책을 축소하고 자산매입과 같은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강력한 회복세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옐런 지명자는 그러나 경기회복세가 완연해지면 양적완화 조치를 자연스럽게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대규모 자산매입 정책이 경제성장과 경기전망 개선 등에 상당히 의미있는 기여를 했다고 긍정 평가한 뒤 “이는 무제한적으로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좀 더 정상적인 통화정책 접근 방식으로 복귀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경기회복”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손성원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옐런 지명자의 발언에 대해 “연준이 당장은 경기부양책을 축소하지 않겠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옐런 지명자는 최근 사상 최고치로 치솟은 뉴욕증시에 대한 일각의 ‘거품’ 논란을 일축했다.

그는 “주가가 상당히 가파르게 올랐지만 전통적인 평가방식으로 미뤄 거품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고 지적한 뒤 증시 지지를 위한 연준의 역할에 대해서는 “그런 건 없다”고 말했다.

옐런 지명자는 금융 규제 및 개혁에 대해 “미국 은행들이 자기자본비율을 확충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면서 연준의 기존 은행 규제에 대한 지지를 나타냈고 “대마불사(too big to fail) 관행을 막기 위한 추가 규제를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은 옐런 지명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뉴욕증시는 다우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가 전날에 이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3대 지수가 모두 상승했고 미국의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미국 언론들은 옐런 지명자가 청문회에서 균형잡힌 발언을 통해 소통에 필요한 능력과 의지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옐런은 양적완화 축소를 지나치게 빨리 시작하거나 너무 미루는 것 모두 위험하다고 밝혔고 시장을 염두에 두겠지만 시장의 포로가 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옐런 지명자가 현재의 연준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고 분석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공화당 의원들이 연준 정책에 대한 비판을 내놓긴 했으나 옐런 지명자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조 맨신(민주·웨스트버지니아) 의원은 “우리는 당신에 대한 최고의 존경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으며, 밥 코커(공화·테네시) 의원도 “당신의 솔직함과 투명함을 평가한다”고 치켜세웠다.

전문가들은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옐런 지명자의 인준 ‘보류’(Hold)를 경고하고 있으나 비교적 무난하게 인준안이 통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상원 은행위원회에는 민주당이 전체(22명)의 절반이 넘는 12명을 차지하고 있어 상임위 통과는 확정적이며, 상원 전체회의로 넘어가도 민주당이 55석을 차지하고 있어 가결 처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체회의 최종 표결을 위한 절차표결에서 60표 이상이 나와야 하기 때문에 공화당 의원 5명 이상의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