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 버냉키 미국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전 의장이 작금의 세계적인 초저금리 현상에 대해 경기부양책이 미흡한 결과라며 각국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버냉키 전 의장은 28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세계비즈니스포럼’ 행사에서 각국 중앙은행들로서는 기본적인 부양책을 제공하라는 정부 쪽의 압박으로 금리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낮출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을 폈다고 일간 디 오스트레일리안이 29일 보도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과 그 밖의 나라들의 문제 중 하나는 모든 사람이 저금리와 양적완화에 대해 불평하지만, 누구도 어떤 일을 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모든 것이 중앙은행으로 떠넘겨지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버냉키는 “경기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통화 및 재정 정책을 균형있게 조합했더라면 훨씬 더 좋았을 것”이라며 중앙은행이 다시 예전처럼 “따분한” 시절이 오기를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버냉키는 양적완화 정책이 미국 등에서 성장을 자극하는 데 이바지했다면서 지금까지는 부작용이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 보고서들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자신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버냉키의 이번 발언은 세계적인 초저금리 현상으로 환율 전쟁과 자산가격 폭등, 소득 격차 문제가 제기된 것과 관련, 자신의 양적완화 정책 등으로 향하는 비난의 화살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7대 선진국들은 긴축정책을 통해 재정적자 수준을 2009년 국내총생산(GDP)의 10.3%에서 올해는 3.8%로 대폭 축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버냉키는 또 글로벌 환율전쟁에 대해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며 각국은 성장 극대화를 위해 환율 움직임과 별개로 금리정책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버냉키는 세계 채권시장의 유동성 감소를 금융 리스크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하면서도 세계 금융시스템은 감독기능 향상으로 이전보다 매우 안정적인 만큼 주식시장의 15% 정도의 추락은 시장이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현재 글로벌 경제에 가장 큰 리스크는 지정학적인 문제로 특히 중동지역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버냉키 전 의장은 28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세계비즈니스포럼’ 행사에서 각국 중앙은행들로서는 기본적인 부양책을 제공하라는 정부 쪽의 압박으로 금리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낮출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을 폈다고 일간 디 오스트레일리안이 29일 보도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과 그 밖의 나라들의 문제 중 하나는 모든 사람이 저금리와 양적완화에 대해 불평하지만, 누구도 어떤 일을 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모든 것이 중앙은행으로 떠넘겨지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버냉키는 “경기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통화 및 재정 정책을 균형있게 조합했더라면 훨씬 더 좋았을 것”이라며 중앙은행이 다시 예전처럼 “따분한” 시절이 오기를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버냉키는 양적완화 정책이 미국 등에서 성장을 자극하는 데 이바지했다면서 지금까지는 부작용이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 보고서들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자신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버냉키의 이번 발언은 세계적인 초저금리 현상으로 환율 전쟁과 자산가격 폭등, 소득 격차 문제가 제기된 것과 관련, 자신의 양적완화 정책 등으로 향하는 비난의 화살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7대 선진국들은 긴축정책을 통해 재정적자 수준을 2009년 국내총생산(GDP)의 10.3%에서 올해는 3.8%로 대폭 축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버냉키는 또 글로벌 환율전쟁에 대해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며 각국은 성장 극대화를 위해 환율 움직임과 별개로 금리정책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버냉키는 세계 채권시장의 유동성 감소를 금융 리스크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하면서도 세계 금융시스템은 감독기능 향상으로 이전보다 매우 안정적인 만큼 주식시장의 15% 정도의 추락은 시장이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현재 글로벌 경제에 가장 큰 리스크는 지정학적인 문제로 특히 중동지역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