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모진 아버지 밑에서 강하게 컸다”

“힐러리, 모진 아버지 밑에서 강하게 컸다”

입력 2015-07-20 09:41
업데이트 2015-07-20 1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개석상에선 언급 꺼려

치약 뚜껑을 제대로 닫아놓지 않으면 소녀의 아버지는 한겨울에도 창 밖으로 치약을 휙 던져 버린다. 그러면 소녀는 밖으로 뛰어나가 눈 덮인 풀밭을 뒤져 치약을 찾아온 뒤 뚜껑을 다시 닫아놔야 했다.

수학 성적이 나쁘면 아버지는 소녀를 새벽에라도 일으켜 깨워 구구단을 외우게 했다. 어쩌다 A를 받아올 때면 아버지는 칭찬은커녕 이렇게 말했다. “시험이 아주 쉬웠나 보네.”

다름 아닌 미국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어릴 적 이야기다.

뉴욕타임스(NYT)는 19일(현지시간) 기사에서 클린턴 전 장관의 아버지 휴 로댐은 이처럼 엄하기 짝이 없고 공격적인 인물이었다고 소개했다.

펜실베이니아 스크랜턴에서 영국 이민자와 탄광 광부의 딸 사이에 태어난 로댐은 흑인, 가톨릭 신자는 물론 자신과 조금이라도 다른 사람이라면 무조건 편견을 가지고 바라보는 사람이었다.

부인과 자식들에게도 비정한 말을 서슴없이 내뱉었고, 때론 심하다 싶을 정도로 하나뿐인 딸과 두 아들을 체벌하기도 했다.

키가 190cm에 가깝고 몸무게도 100kg이 넘는 거구였던 그는 종종 식사자리에서 부인을 나무라곤 했으며, 아이들이 용돈을 달라고 하면 “내가 너희를 먹여 살리지 않느냐”고 쏘아붙였다.

클린턴 전 장관의 어머니가 클린턴 전 장관에게 “배움 자체를 위해 공부해야 한다”고 격려하면, 아버지는 불쑥 끼어들어 “돈 벌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라고 말하곤 했다.

클린턴 전 장관의 전기작가인 칼 번스타인은 “모든 것이 ‘아빠가 제일 잘 안다’는 식이었다”며 “휴 로댐의 심술궂은 성격, 대인기피 성향 때문에 로댐 가족은 이웃으로부터 소외된 채 지내야 했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어머니가 건강 문제 때문에 자신의 1969년 웰슬리 대학 졸업연설을 보러 오지 못한 것이 몹시 서운했다고 한다.

당시 졸업식엔 어머니 대신 아버지가 참석했는데, 클린턴 전 장관은 2003년 회고록에서 “아버지의 스타일대로, 그는 졸업식 전날 밤 보스턴으로 날아와 공항 근처에서 주무시고는 다음날 졸업식에 참석하고 곧바로 떠났다”고 적었다.

하지만 클린턴 전 장관과 아버지와의 관계가 마냥 나빴던 것만은 아니었다.

아버지는 딸에게 스포츠 경기를 비롯해 남자가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자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1975년 하나뿐인 딸이 가난한 청년 빌 클린턴과 결혼하려 할 땐 딸을 내주기 주저하기도 했다고 NYT는 소개했다.

그랬던 아버지는 클린턴 전 장관이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함께 취임 선서를 한 뒤 얼마 되지 않아 1993년 8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NYT는 보통 대선 후보들은 불우했던 어린 시절이나 어려운 가정사에 대한 이야기들을 유권자 감성에 호소하는 전략 차원에서라도 자주 언급하곤 하지만, 클린턴 전 장관의 경우 그동안 자신의 어릴 적 이야기를 공개하는 것을 삼가왔다고 전했다.

부모에게 학대받다 조부모 손에 맡겨졌으나 또다시 가출, 가정부로 삶을 꾸렸다는 자신의 어머니 도로시 로댐에 대한 이야기 역시 이번 대선 유세를 시작하면서 비로소 대중에 공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아버지에 대해선 여전히 에둘러 표현하는 방식으로 언급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고 NYT는 지적했다.

얼마 전 아이오와에서 열린 한 파티에서 누군가 클린턴 전 장관에게 건강에 좋다며 마늘 성분의 약을 선물했을 때도 그는 마늘향에 불현듯 어린 시절 기억이 떠오른 듯 “돌아가신 아버지가 마늘 신봉자였다”고 답한 정도였다.

심지어 올해 아버지의 날에도 클린턴 전 장관은 트위터에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함께 만들어가는 미국을 어머니가 보셨으면 좋겠다”고 올렸다.

그 메시지는 이렇게 이어졌다. “아버지가 딸에게 ‘그래, 넌 네가 원하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단다. 미국의 대통령까지도’라고 말할 수 있는 미국을.”

이렇듯 클린턴 전 장관은 어린 시절 상처 탓인지 아버지에 대해선 별 애정을 드러내지 않는 모습이지만, 클린턴 전 장관의 지인들은 그녀의 강인함이 바로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말한다.

클린턴 전 장관의 친구이자 전 백악관 언론담당 보좌관이었던 리사 카푸토는 “힐러리의 아버지는 가족 내에서 굉장한 힘을 가진 사람이었다”며 클린턴 전 장관이 규율, 끈기, 근면성 등 “그의 많은 부분을 닮았다”고 말했다.

또 아버지로부터 받은 혹독한 훈련은 클린턴 전 장관이 각종 정치적 싸움에서 견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지인들은 믿고 있다고 NYT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