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전 출마 뒤 잇단 악재 60%였던 지지율 40%대 추락
“그가 지난 4월 대선 출마를 선언했을 때만 해도 이렇게 어려움을 겪게 될 줄은 상상조차 못했을 겁니다.” 미국 민주당의 유력한 차기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12일(현지시간)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지 6개월을 맞았다. 13일 민주당 대선 후보 첫 토론회를 개최하는 CNN은 11일 선거 전문가들이 출연한 프로그램에서 힐러리 전 장관의 지난 6개월은 “매우 힘든 나날들”이었다며 이렇게 평가했다.
연합뉴스

40년 전 클린턴 부부의 첫날
11일(현지시간)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남편이자 정치적 동지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의 결혼 40주년을 맞아 자신의 트위터에 띄운 결혼사진. 부부는 이날 트위터에 각각 결혼사진을 띄우며 영욕의 세월을 함께한 서로를 축하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 사진과 함께 “도서관에서 만난 귀여운 남자와 40년 전에 결혼했다. 결혼기념일 축하해. 당신은 여전히 매력 있어”라는 글을 올려 애정을 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은 개인 이메일 사용 문제뿐만이 아니었다. 남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세운 클린턴재단의 외국 정부 후원금 문제, 고가의 강사료 문제, 국무장관 시절 리비아 벵가지에서 벌어진 미 대사 피격·사망 사건에 대한 처리 문제 등은 잊을 만하면 고개를 들었다. 이 때문에 출마 선언 1년 전 67%를 넘었던 지지율은 4월 이후 64%까지 유지했으나 계속 내리막길을 걸어 9월 하순 40.5%로 바닥을 쳤다.
이런 상황에서 공화당 대선 후보로 나선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와 민주당의 다른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의 돌풍은 클린턴의 독주를 허용하지 않았다. 클린턴 전 장관은 자신에 대한 악재가 터질 때마다 트럼프와 샌더스에게 지지율 1위를 넘겨주기도 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최근 이미지를 쇄신하고자 인기 코미디쇼 새터데이나이트라이브(SNL)에 바텐더로 출연해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는 등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지난 8월 하순 50% 밑으로 떨어진 지지율은 아직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클린턴 캠프는 13일 오후 열리는 첫 민주당 대선 후보 토론회를 기점으로 추락한 지지율을 만회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샌더스 등 다른 후보들과 중산층 살리기, 총기 규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다양한 현안을 놓고 한판 설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CNN은 “클린턴 전 장관이 할머니의 모습을 보일 것이냐, 싸움닭의 모습을 보일 것이냐가 관전 포인트”라고 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어 22일 하원 벵가지 특별위원회에 처음으로 출석해 직접 증언한다. 벵가지 사태가 여전히 논란이 많은 만큼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것이다. 미 언론은 “클린턴 전 장관에게 10월은 유권자들의 신뢰와 지지율을 다시 회복할지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10-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