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최근까지 이집트 통해 중동·아프리카에 무기 장사”

“北, 최근까지 이집트 통해 중동·아프리카에 무기 장사”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3-04 22:34
업데이트 2018-03-04 22: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NYT ‘유엔보고서’ 보도

북한이 최근까지 이집트를 통해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무기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은 이달 중 발표할 보고서를 통해 2016년 8월 이집트의 수에즈운하 근처에서 단속된 북한 화물선 ‘지선호’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공개한다고 뉴욕타임스(NYT)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당시 지선호는 로켓 수류탄 3만발을 싣고 있었고 이는 약 2600만 달러(약 281억원)어치로 추정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로켓 수류탄의 고객은 이집트 내 주요 방위업체인 아랍산업화기구(AOI)로 드러났다. 이는 북한과 이집트가 은밀하게 무기를 거래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NYT는 유엔과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이집트가 그동안 북한제 무기를 구매했고 북한 외교관들이 무기판매를 하도록 묵인해 왔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사메 쇼쿠리 이집트 외무장관은 북한과 이집트 사이에 경제와 다른 분야의 협력은 거의 없다고 밝혔지만, 아직도 의구심은 가시지 않았다.

미국 미들버리국제관계연구소의 북한 문제 전문가인 안드레아 버거는 “미국 정부는 북한이 아직 이집트에 미사일 부품을 공급하는 것으로 우려한다”고 말했다. 특히 카이로 주재 북한대사관은 북한이 중동 및 북아프리카와 무기를 거래하는 거점 역할을 했다. 국제사회의 제재에 시달리는 북한은 외화를 확보하려고 외교관들을 무기 장사에 활용한 셈이다.

유엔과 미국은 2016년 당시 박춘일 이집트 주재 북한대사를 불법 무기거래 혐의로 제재 대상에 올렸다. 박춘일은 외교관 신분을 악용해 북한의 무기거래 주요 통로인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를 지원한 혐의를 받았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3-05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