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개방 땐 베트남보다 발전… 한국 경제에도 청신호”

“북한 개방 땐 베트남보다 발전… 한국 경제에도 청신호”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6-19 23:18
업데이트 2018-06-20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성원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

대규모 감세·재정 적자 등 여파
미국 2020년 경제절벽 가능성
한국, 금리 격차 걱정 안 해도 돼
이미지 확대
손성원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손성원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미국 내 대표적인 경제전문가로 꼽히는 손성원(SS이코노믹스 대표)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는 18일(현지시간) “미 경제는 2020년부터 경제절벽에 다다를 수 있다”면서 “원인은 대규모 감세로 인한 재정 적자 확대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 인상 가속화, 무역전쟁, 수익률 곡선 평탄화 등”이라고 경고했다.

손 교수는 이날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2차 대전 이후 역사적 통계를 보면 연준이 긴축을 시작하고, 18개월 후에 S&P500지수가 최고치에 도달하고, 이후 10개월 후에 경기 침체가 시작되는 패턴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020년 경제 상황이 악화하면 재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경 등 추가 부양책을 도입하려 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중간선거 결과에 따라 민주당이 하원 등을 장악하면 이도 여의치 않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또 연준의 금리 인상이 3%를 넘기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연준은 경제전망이 좋고 실업률은 내려가는데 인플레이션은 오르지 않는다고 하고 있는데 말이 되지 않는다”면서 “3% 이상으로 금리를 높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과의 금리 격차도 우려할 필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손 교수는 “금리 차에 따른 자본 유출로 핫머니가 왔다 갔다 할 수는 있지만, 중요한 것은 롱텀(장기투자) 머니”라면서 “장기적 투자자들은 한국 경제 전망이 얼마나 좋은지를 보고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한국 경제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GDP(국내총생산)는 한국의 2.20% 수준, 수출은 한국의 0.50% 수준으로, 분명히 큰 차이가 있다”면서도 “광업 부분은 1986년 개방을 택한 베트남보다 크게 앞서 가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베트남은 1986년 이후 성장률이 7~9% 수준”이라면서 “개방화된 북한의 발전 가능성이 베트남보다 훨씬 높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다만 북한 인권 이슈가 대북 투자와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손 교수는 “글로벌 기업들, 특히 미 기업들은 인권 이슈에 민감한데 이런 리스크를 안고 북한에 투자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6-20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