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작년 8월 참모들에 “베네수엘라 침공 어때?”

트럼프, 작년 8월 참모들에 “베네수엘라 침공 어때?”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7-05 23:10
업데이트 2018-07-06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P “틸러슨 등 깜짝 놀라 만류”

자국 이익 위해 무력행사 불사
“트럼프, 생각나는 대로 말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캐리커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캐리커처
“베네수엘라가 지역 안보를 위협하고 있는데 왜 미국은 문제 있는 나라를 침공할 수 없나?”

도널드 트럼프(얼굴)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8월 10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네수엘라 제재를 논의하는 회의 끝자락에 참모들을 돌아보면서 던진 말이다.

이 발언은 당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기절시킬 정도로 놀라게 만들었다고 AP통신 등이 4일(현지시간)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5분 동안 이어진 대화에서 맥매스터 보좌관과 다른 참모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을 상대로 한 군사 행동이 어떻게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역내 주변국들의 지지를 얻기 힘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쉽게 설득되지 않았고, 1980년대 파나마와 그라나다에 침공해 성공한 사례들을 들었다. AP통신은 “참모들이 어렵게 베네수엘라 침공 계획을 저지시켰지만, 그 생각은 트럼프 대통령의 머릿속에 계속 머물러 있는 듯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다음날인 8월 11일에도 기자들에게 베네수엘라에 대한 “군사 옵션”을 경고했다.

이 같은 실례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의 이해를 관철시키기 위해 무력 행사도 불사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갖고 있으며, 그러한 무력 행사가 어떤 위험과 후유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로부터 얼마 뒤 트럼프 대통령은 또다시 후안 마누엘 산토스 콜롬비아 대통령과 함께 이 문제를 제기했다고 고위 관리는 전했다. 이어 9월 유엔 총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문제를 또 거론했다. 4명의 라틴아메리카 정상들과 개인적으로 만찬을 하고 있는 자리에서였다.

참모들은 만찬에서 이를 제기하지 말라고 조언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만찬에서 제일 먼저 이 문제를 입에 올렸다.

그는 당시 “참모들이 말하지 말라고 했다”면서 참석한 정상들에게 베네수엘라 침공에 대한 개별 의견을 물었다. 이 문제에 정통한 한 미국 관리는 이와 관련해 “군사 공격을 위한 임박한 계획은 없다. 대통령은 많은 다른 것들을 말하고 생각한다. 그는 단지 생각나는 대로 말한다”고 설명했다고 CNN은 전했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8-07-06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