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의 숨겨진 속살 속으로… 인사이트 ‘터치다운’

화성의 숨겨진 속살 속으로… 인사이트 ‘터치다운’

한준규 기자
입력 2018-11-28 00:26
업데이트 2018-11-28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성 적도 ‘엘리시움 평원’ 착륙 성공

지표면 찍은 사진 보내자 환호성 터져
다른 탐사선과 달리 움직이지 않고
1.8m 로봇팔로 2년간 화성 지하 탐사
이미지 확대
화성에서 보낸 첫 사진
화성에서 보낸 첫 사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첫 지질 탐사선 ‘인사이트’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톰 호프먼(왼쪽)이 26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의 제트추진연구소(JPL) 관제소에서 지구로 전송해 온 인사이트의 첫 화성 사진을 가리키며 활짝 웃고 있다.
캘리포니아 EPA 연합뉴스
‘3, 2, 1, 터치다운 완료.’

26일(현지시간) 오후 2시 54분 극도의 긴장감에 휩싸였던 미국 캘리포니아의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마침내 환호성과 박수가 터져 나왔다. 첫 화성 지질 탐사선인 미항공우주국(NASA)의 ‘인사이트’가 무사히 화성 적도 인근의 ‘엘리시움 평원’에 착륙한 것이다. 연구소뿐 아니라 뉴욕 맨해튼의 타임스스퀘어 등 미 전역의 시민들도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오늘 인사이트호의 화성 착륙을 가능하게 한 모든 이들에게 축하를 전한다”면서 “미국이 화성에 착륙한 여덟 번째이자 화성의 깊은 내부를 조사하는 첫 번째 임무”라고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미지 확대
화성 지표면을 촬영한 인사이트의 첫 사진도 큐브샛 마르코를 통해 전송됐다. AP통신은 “인사이트의 첫 번째 사진은 카메라 렌즈 보호막에 묻은 먼지로 인해 작은 반점들이 있지만 암석 같은 것이 거의 없어 탐사에 유리한 평편한 곳에 잘 착륙했음을 보여 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자체 전력 공급원인 태양광 패널도 성공적으로 펼쳐져 충전이 진행 중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이제 남은 건 본격적인 화성 지하 탐사다. 인사이트는 기존 탐사선과 달리 착륙한 지점에서 단 1㎜도 움직이지 않은 채 2년여 동안 화성의 속살, 지하 탐사에만 올인할 계획이다. 인사이트는 1.8m 길이의 로봇팔을 이용해 행성 표면에 지진계를 설치해 지진 여부를 측정하며 행성 핵에 관한 단서를 수집한다.

또 지하 5m까지 자동으로 파고들게 고안된 드릴 같은 장치에는 열 감지기가 장착돼 행성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고작 5m 깊이의 지하에서 ‘무엇을 밝힐 수 있는가’라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NASA 관계자는 “화성의 지표 5m를 파고 들어가면서 화성 지열의 변화 추이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성 ‘핵’의 활성화 여부와 상태 등도 유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ASA는 인사이트를 통해 화성의 지하 구조를 탐색하고 암석형 행성 형성과 지난 수십억 년에 걸친 변화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11-28 1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