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위대한 재즈 피아니스트 맥코이 타이너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위대한 재즈 피아니스트 맥코이 타이너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3-08 10:06
업데이트 2020-03-08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옛적 로마에서는 승리를 거두고 개선하는 장군이 시가 행진을 할때 노예를 시켜 행렬 뒤에서 큰소리로 “메멘토 모리!”라고 외치게 했다.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인데,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너무 우쭐대지 말라. 오늘은 개선 장군이지만, 너도 언젠가는 죽는다. 그러니 겸손하게 행동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아메리카 인디언 나바호족에게도 “네가 세상에 태어날 때 넌 울었지만 세상은 기뻐했으니, 네가 죽을 때 세상은 울어도 너는 기뻐할 수 있는 그런 삶을 살라”는 가르침이 전해진다. 죽음이 곧 삶이다. 의미있는 삶을 마치고 죽음을 통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이들의 자취를 좇는다.
6일(이하 현지시간) 세상을 떠난 재즈 피아니스트 맥코이 타이너가 2009년 7월 14일 스위스 몽트뢰에서 진행된 제43회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에 무대에 올라 건반을 두드리고 있다. EPA 자료사진 연합뉴스
6일(이하 현지시간) 세상을 떠난 재즈 피아니스트 맥코이 타이너가 2009년 7월 14일 스위스 몽트뢰에서 진행된 제43회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에 무대에 올라 건반을 두드리고 있다.
EPA 자료사진 연합뉴스
미국 재즈의 황금 시대를 일군 피아니스트로 전설의 밴드 존 콜트레인 쿼텟 멤버 가운데 마지막 생존자였던 맥코이 타이너가 81세를 일기로 눈을 감았다.

유족들은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배포한 성명을 통해 고인의 운명을 전할 뿐 어떤 다른 구체적인 내용도 알리지 않았다고 AP 통신이 7일 전했다. 성명은 “재즈 레전드 알프레드 맥코이 타이너의 부고를 알려 무거운 마음이다. 고인은 온 생애를 예술과 가족, 영성에 바친 영감 넘치는 뮤지션이었다”며 “맥코이 타이너의 음악과 유산은 팬들과 미래의 재주 많은 세대에게 계속 영감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고인은 1938년 12월 11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열세 살에 피아노 레슨을 받기 시작했다. 20대 초반 재즈계에 발을 들여 1960년 콜트레인을 만나 이듬해 그의 앨범 ‘마이 패버리트 딩스’부터 합류했다. 이 앨범은 대단한 성공을 거둬 존 콜트레인 쿼텟을 결성하는 전기가 됐고, 1998년 그래미 명예의전당에 헌액됐다. 색소포니스트 콜트레인을 비롯해 베이시스트 지미 개리슨, 드러머 엘빈 존슨, 피아니스트 타이너였다. 쿼텟은 나중에 특정 뮤지션을 초청해 더불어 연주하는 프로젝트를 여러 차례 하며 국제적으로 유명해졌고, 재즈 역사에 한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들었다.

열일곱 살 때 아마디야 이슬람 공동체를 통해 이슬람으로 개종, 자신의 이름을 술리에만 사우드로 바꿨다. 미국 공산당 활동에 형제가 연결된 일도 있었다.

쿼텟 활동을 하면서 네 멤버 모두 개인 활동을 꾸준히 했다. 타이너도 자신의 앨범을 70장 이상 발매했고, 다섯 차례나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2002년에 그는 국립예술공헌 아카데미의 재즈 마스터로 지명됐다.

음악 잡지 ‘롤링 스톤’은 모든 음악 장르를 통틀어 가장 뛰어나고 빼어났던 밴드의 마지막 생존 멤버가 삶을 다했다고 의미를 전했다. 어떤 음악 장르이건 시간이 지나면 개인의 영광이 도드라지곤 하는데 이 밴드는 글자 그대로 밴드로서 위대했다는 것이다. 고인은 2003년 재즈 전문 기자 테드 판켄과의 인터뷰를 통해 쿼텟 멤버들이 “서로의 음악 어휘를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2007년 콜트레인의 음악 여정을 돌아본 책 ‘콜트레인, 스토리 오브 사운드’를 쓴 재즈 평론가 벤 라틀리프는 마지막에 “재즈의 진실은 이 밴드에 있다”고 적었을 정도였다.

라틀리프는 일간 뉴욕 타임스(NYT)에 실린 장문의 타이너 부음 기사를 통해 각자 솔로로 연주할 때는 분명한 자신의 색깔을 분출해내면서도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읽어내며 종국은 하나의 밴드 음악을 들려주는 데 이 밴드의 위대함이 있다고 짚었다.

잡지는 오늘날 재즈계는 밴드를 결성해 활동하는 풍조에서 많이 멀어졌다며 타이너의 죽음은 마음을 합쳐(mind-meld) 업적을 이루는 시대가 끝났으며 우리에게 재즈는 늘 머릿수 싸움이었음을 새삼스럽게 일깨운다고 달콤쌉싸래하게 지적했다.

2008년 공영 NPR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장수의 비결을 묻는 질문에 “당근 주스를 좋아해. 정말로 몸에 좋다. 당근과 샐러리, 잊지 마라 샐러리도 있어”라고 답했다. 자신의 페이스북에는 “내게 사는 일과 음악은 완전히 똑같다. 연주하므로 살아간다. 앞으로 어떤 경험을 할지 예측하지 못하며 내 음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예상할 수도 없다. 느낀 대로 곡을 쓰고 악기를 연주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