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백악관발 코로나’ 우려…미 CDC·FDA 수장 자가 격리

커지는 ‘백악관발 코로나’ 우려…미 CDC·FDA 수장 자가 격리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5-10 11:22
업데이트 2020-05-10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일 상원 청문회 참석 불투명…코로나19 대응 총괄하는 TF 멤버들 감염 우려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감염된 미국 부통령 대변인 케이티 밀러
코로나19 감염된 미국 부통령 대변인 케이티 밀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의 공보비서이자 스티븐 밀러 백악관 선임보좌관의 부인 케이티 밀러가 지난 3월 10일 백악관에서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브리핑 준비 작업에 참가하고 있다.
워싱턴 로이터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책임지는 미국 연방 기구인 식품의약국(FDA) 국장이 자가격리된 데 이어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수장도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의 대변인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여파로 보인다. 이 대변인은 미국의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하는 백악관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CDC는 9일(현지시간) 로버트 레드필드 국장이 2주간 재택근무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CDC는 레드필드 국장이 백악관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인사에 노출됐으며 위험이 크지는 않다고 설명하면서 이 인사가 누군지는 밝히지 않았다.

레드필드 국장은 지난달 27일에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음성 판정이 나온 바 있으며 현재 상태가 괜찮고 증상이 없다고 CDC는 전했다.

스티븐 한 FDA 국장도 전날 코로나19 감염자에 노출됐다며 2주간의 자가격리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FDA는 한 국장이 접촉한 감염자가 누군지 밝히지 않았지만, 워싱턴포스트(WP)를 비롯한 미 언론은 행정부 고위당국자를 인용, 확진 판정을 받은 케이티 밀러 부통령 대변인이라고 전했다.

한 국장은 즉시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으며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FDA는 밝혔다.

밀러 대변인은 백악관 코로나19 TF 회의에 참석했던 것으로 미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이 TF 회의에는 한 국장이나 레드필드 국장 말고도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소장이나 데비 벅스 백악관 조정관 등 미국의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하는 핵심 당국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밀러 대변인과의 접촉 상황에 따라 TF 내에서 추가 감염자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한 국장과 레드필드 국장, 파우치 소장은 12일 상원에서 열리는 코로나19 대응 청문회에 참석하게 돼 있는데 갑작스러운 격리·재택근무 변수로 참석이 가능할지 불투명하다.

당장 밀러 대변인의 확진 판정으로 펜스 부통령은 물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까지 백악관 전체가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밀러 대변인의 남편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참모 스티븐 밀러 백악관 선임보좌관이다.

CNN방송은 밀러 대변인이 양성 판정을 받음에 따라 백악관 내에서 접촉 내역에 대한 추적이 이뤄졌으며 일단 남편인 밀러 선임보좌관을 비롯해서 밀러 대변인이 접촉한 모든 이들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백악관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백악관은 직원들에게 마스크를 착용토록 하고 있으며 코로나19 검사 및 체온 점검 등의 조치를 강화한 상태다.

한편, 파우치 소장은 이날 CNN과 인터뷰에서 자신은 확진 판정을 받은 백악관 직원과 밀접 접촉이 아닌 “낮은 위험도(low risk)”로 접촉했기 때문에 “완화된(modified) 자가격리”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파우치 소장은 2주간 완전한 자가격리에 들어간 레드필드 국장이나 한 국장과 달리, 자신은 2주간 마스크를 낀 채 재택근무를 할 것이며 자신이 혼자 사용하는 연구소 사무실에 출근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코로나19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그는 매일 새로 검사를 받을 것이라면서, 백악관이나 의회에서 부르면 모든 예방조치를 한 후 가겠다고 말했다. nari@yna.co.kr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