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콘신 바이든 역전·미시간 0.5%p 격차…불꽃 접전

위스콘신 바이든 역전·미시간 0.5%p 격차…불꽃 접전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11-04 22:12
업데이트 2020-11-04 2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대통령, 경합주 앞서다 혼전

서로 대선 승리 주장하는 트럼프-바이든
서로 대선 승리 주장하는 트럼프-바이든 미국 대선 다음날인 4일(현지시간) 새벽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연설에서 “우리가 이번 선거에서 이겼다”며 승리를 주장하고 있다. 조 바이든(왼쪽) 민주당 대선 후보가 같은 날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승리로 가고 있다고 본다”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후보는 개표 집계가 혼전을 거듭하자 이날 각자 승리를 자신하면서 뜨겁게 기세 싸움을 벌였다.2020.11.04 AFP 연합뉴스
미국 대선 경합주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 때 큰 격차로 앞서나가다가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맹추격하면서 표 차가 좁혀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동부시간으로 4일(현지시간) 오전 7시 33분 현재 위스콘신·미시간·펜실베이니아·노스캐롤라이나·조지아·애리조나·네바다·알래스카주에서 승자가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가운데 네바다주와 알래스카주를 뺀 나머지 5곳은 경합주로 분류된다.

러스트벨트에 속하는 위스콘신주(선거인단 10명)는 개표가 92% 이뤄진 가운데 바이든 후보가 득표율 49.5%로 트럼프 대통령(48.8%)을 근소하게 앞섰다. 개표가 81% 진행됐을 때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이 4.0% 포인트 앞섰는데 역전됐다. 위스콘신주 부재자투표 개표는 이날 오전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위스콘신주와 함께 러스트벨트에 속하는 미시간주(선거인단 16명)는 개표율 86%에 트럼프 대통령 득표율이 49.4%로 바이든 후보(48.9%)보다 불과 0.5% 포인트 높다. 미시간주 개표가 절반쯤 이뤄졌을 때 득표율 차가 9.8% 포인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이든 후보가 추격 속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시간주 승패는 현지시간으로 4일 밤에 판가름 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지 확대
미국 대선일인 3일(현지시간) 투표가 마감된 플로리다주의 팜비치 카운티 선거사무소에서 개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대선일인 3일(현지시간) 투표가 마감된 플로리다주의 팜비치 카운티 선거사무소에서 개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폭스뉴스는 미시간주에서는 개표율 90%에 트럼프 대통령 득표율이 49.4%로 바이든 후보(49.1%)보다 불과 0.3% 포인트 앞서고 있다고 전했다. NYT는 “개표가 남은 우편투표에선 민주당이 우세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가져간 플로리다주와 함께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펜실베이니아주(선거인단 20명)는 개표가 75% 진행됐고 트럼프 대통령이 득표율 55.1%로 바이든 후보(43.6%)를 11.5% 포인트 차로 이기고 있다. 개표율이 41%였을 땐 득표율이 15.2%포인트 차로 벌어지기도 했다. 펜실베이니아주에선 우편투표가 6일까지 도착하면 유효표로 인정된다.

노스캐롤라이나주(선거인단 15명)와 조지아주(선거인단 16명)는 개표율이 각각 95%와 92%다. 두 주에서 모두 트럼프 대통령이 앞섰는데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선 득표율 50.1%로 1.4% 포인트, 조지아주에서는 득표율 50.5%로 2.2% 포인트 앞섰다.

개표율 82%의 애리조나주(선거인단 11명)는 바이든 후보가 득표율 51.8%로 46.8%의 트럼프 대통령을 5.0%포인트 차로 앞서고 있다. 앞서 폭스뉴스는 애리조나주에서 바이든 후보의 승리를 예측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