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사이트] “토지사용료 주고 거주·일자리 문제까지 해결” “다황디촌 1인당 소득, 中 농촌 평균의 2.5배”

[글로벌 인사이트] “토지사용료 주고 거주·일자리 문제까지 해결” “다황디촌 1인당 소득, 中 농촌 평균의 2.5배”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12-28 23:08
업데이트 2015-12-29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유경제 성공 이끈 류옌둥 둥푸미예 회장

지린성 다황디(大荒地)촌의 공유경제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밑바탕에는 한 사업가의 뚝심이 자리 잡고 있다. 2002년 쌀 생산 기업 둥푸미예(東福米業)를 창업해 현재 12개의 자회사를 거느린 둥푸그룹으로 키운 류옌둥(劉延東) 회장이 주인공이다. 류 회장은 다황디촌의 공산당 서기를 맡고 있는데, 마을 주민들이 뽑은 특이한 당서기다. 상부에서 서기를 임명하는 게 원칙이나 주민들의 간곡한 요청으로 선출직 서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류옌둥 둥푸미예 회장
류옌둥 둥푸미예 회장
→황무지에 회사를 차린 이유가 무엇인가.

-나는 여기서 나고 자랐다. 학교 다닐 때부터 우리 마을을 부자 동네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부를 함께 공유하는 방법을 많이 고민했다. 주민 대부분이 농사를 짓기 때문에 쌀을 매개로 규모의 경제를 만들고 이윤이 발생하면 이를 다시 주민에게 돌려주는 시스템을 줄곧 생각했다. 규모화와 기계화를 이루지 못하면 농촌은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고 봤다.

→농민들로부터 토지 사용권(토지 소유권은 국가에 있다)을 어떻게 확보했나.

-삼장법사가 불경을 얻는 것만큼이나 힘들었다. 2010년에 처음으로 농민들에게 토지 사용권을 넘기는 대신 토지 사용료와 주택을 주고 취직까지 시켜 주겠다고 제의했으나, 농민들은 “우리 토지를 빼앗으려고 한다”며 반발했다. 2011년 첫해에는 ‘생산소조’ 9곳 중 단 2곳만 참여했다. 이들이 선수금으로 토지 사용료를 받고 월급까지 받으며 아파트에 입주하는 것을 목격한 뒤에야 모든 소조(960여 가구)가 참여했다.

→농민들의 소득은 얼마나 되나.

-우선 매년 ㏊당 1만 3000위안(약 234만원)의 토지 사용료를 받는다. 매년 초 한꺼번에 돈을 받을 수 있어 예금까지 해 놓는다면 이자는 덤이다. 기업에 취직해서 월 4300위안(약 77만원)가량의 월급을 받기도 한다. 우리 마을의 인당 소득은 중국 전체 농촌 평균수입의 2.5배가 넘는다. 중국은 2020년까지 전면적인 샤오캉(小康·안정된 복지) 사회를 건설하는 게 목표인데 우리는 이미 실현했다.

→공유경제를 배우기 위해 다른 지역에서도 많이 오나.

-중국 농촌 지역에서는 거의 의무적으로 배우러 온다.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한국에서도 온다. 한국 농촌도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데, 우리 모델을 참고하면 좋겠다. ‘함께하면 더 많이 나눌 수 있다’는 생각이 전제돼야 한다.

지린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12-29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