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엘리트 이공대생들이 일본 전문학교에 유학온 이유

중국 엘리트 이공대생들이 일본 전문학교에 유학온 이유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9-24 14:00
수정 2018-09-24 1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게임을 하느라 핸드폰 화면에 몰두 하고 있는 중국의 한 청소년. NHK 웹사이트
게임을 하느라 핸드폰 화면에 몰두 하고 있는 중국의 한 청소년. NHK 웹사이트
중국 명문대학의 최고봉인 칭화(淸華)대학의 초엘리트 공대생들이 일본의 이름도 없는 전문학교에 대거 유학을 왔다. 왜일까.

NHK는 최근 도쿄 신주쿠에 있는 한 전문학교에 단기 유학을 온 15명의 중국 칭화대 학생들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들은 여름 방학 등을 이용해 몇 달씩 일본에 머물면서 게임 개발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학교 등에서 일본의 게임 기술과 노우하우를 배우고 있었다.

중국 게임시장은 이미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등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 개발 역사가 일천한 데다가, 체계적으로 게임 제작과 개발을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기관이 없어 중국의 공학 엘리트들이 단기 또는 장기로 일본에 와서 게임개발의 노우하우를 배워가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일본 게임 개발 전문학교에 와서 게임 개발 기술을 배우고 있는 칭화대 등 중국의 엘리트 공대생들. NHK 웹사이트
일본 게임 개발 전문학교에 와서 게임 개발 기술을 배우고 있는 칭화대 등 중국의 엘리트 공대생들. NHK 웹사이트
게다가 게임산업이 중국의 최고의 유망산업으로 부각되면서 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중국의 젊은 초엘리트 학생들의 관련 분야 진입이 늘고, 칭화대 학생 등 중국 공학 엘리트들의 일본행도 증가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기준 중국의 온라인 게임 등 게임 이용자 수는 5억 8000여만명에, 매출액만도 약 34조원을 넘었다.

단 하나의 게임 소프트웨어를 2억명이 이용하는 초대박 게임까지 탄생하는 등 세계 이용자의 약 3분의 1을 이상을 차지하는 초거대 시장으로 이미 성장했다. NHK는 이런 상황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제작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수입과 지위도 급상승되면서 공학 엘리트의 유입도 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게임 산업 종사자의 평균 월 수입은 1만 위안(약 164만원)으로 정보통신 관련 업계에서 최고 수준이 됐다.

일본 게임 개발 전문학교에 학교 친구들과 함께 단기 유학을 온 칭화대생 뤼쑹저(呂松?·19)는 “처음부터 게임을 만드는 기술과 노우하우를 배워가는 것이 목표”라고 NHK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는 체류기간 동안 일본 게임회사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던 강사부터 기존의 ‘게임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오리지널 게임을 개발하는 노하우를 배웠다.
이미지 확대
일본 게임 개발 전문학교에 단기 유학을 온 칭화대생 뤼쑹저. 일본 게임 회사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던 강사들로부터 게임을 만드는 기초 기술부터 배웠다고 NHK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NHK 웹사이트
일본 게임 개발 전문학교에 단기 유학을 온 칭화대생 뤼쑹저. 일본 게임 회사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던 강사들로부터 게임을 만드는 기초 기술부터 배웠다고 NHK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NHK 웹사이트
뤼쑹저는 “일본의 게임 기술과 전통은 참 훌륭하다”면서 “게임 개발의 전체 흐름을 배울 수 있었고, 구체적인 제작 과정도 알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체류기간 동안 그는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 보여 주위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뤼쑹저처럼 다른 중국 학생들도 처음부터 게임 개발 과정을 익히고, 기존의 게임 엔진에서 벗어나 스스로 처음부터 게임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활약이 주목된다.

인터넷게임 등 게임 산업의 역사가 길지 않은 중국에서는 지금까지는 대개 서구 업체들이 개발한 ‘게임 엔진’이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게임을 제작해 왔다. 미리 개발된 게임 엔진을 토대로 게임을 제작하면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새로운 게임들을 양산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 업체도 게임 개발에 참가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유사한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활용하다 보니 기존의 틀에 갇혀버리고, 만들어진 게임이 모두 붕어빵을 찍어내 듯 어딘가 비슷하고, 참신하고 새로운 맛, 독창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컸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에 유학 온 중국의 젊은 엘리트 ‘게임 학습자’들은 일본의 게임 제작 노우하우와 게임 산업의 축척을 단기간 내에 쏙쏙 뽑아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 게임업계는 지난 40년 동안 가정용 게임기를 시작으로 격렬한 개발 경쟁을 거치면서, 게임기와 게임 소프트 등에서 각각 독자적인 개발 기술을 축척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중국 텐진 시내에서 젊은이들이 모여 앉아 담소를 하면서 핸드폰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다. NHK 웹사이트
중국 텐진 시내에서 젊은이들이 모여 앉아 담소를 하면서 핸드폰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다. NHK 웹사이트
NHK는 어떤 한 전문학교에는 게임 관련 학과에 중국학생이 300여명이나 배우고 있다면서 중국 젊은이들의 뜨거운 관심을 전했다. 이미 이들 게임 전문학교들에는 일본 관련 기업들로부터 “우수한 중국 유학생들을 추천해 달라”는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중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게임 업체들이 이들 중국 유학생들에게 뜨거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유학중인 중국의 게임산업 인재를 차지하려는 일본 기업들의 스카웃 경쟁은 벌써 뜨겁게 달아올랐다. 일본 기업의 한 담당자는 “우수한 중국의 인재를 둘러싸고 획득 경쟁이 이미 거세다”면서 “거대한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상황과 게임 이용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그리고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극복해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인재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NHK는 인터넷을 사용한 온라인 게임이 세계 게임의 주류가 되고, 중국 게임기업들이 약진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관련 우수인력 확보는 일본의 게임 업체의 사활을 가르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에 와서 게임산업을 배운 칭화대 학생들의 반응이 “일본의 게임 문화가 짙게 반영되어 있고, 세계관에 독자성이 있다” “섬세함과 훌륭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국제적인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