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은 중국 체제 선전 도구”… 바이트댄스 전 임원 폭로

“틱톡은 중국 체제 선전 도구”… 바이트댄스 전 임원 폭로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5-15 00:05
수정 2023-05-15 06: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회사 미국 내 모든 자료 접근권
공산주의 핵심 가치 퍼뜨리라 지침”

이미지 확대
미국 캘리포니아 LA카운티 컬버시티 내 틱톡 본사 로고. AFP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 LA카운티 컬버시티 내 틱톡 본사 로고. AFP 연합뉴스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중국 정부의 체제 선전 도구로 쓰인다는 폭로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1년여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미국 사업부에서 엔지니어링 책임자로 일한 위인타오는 지난 12일 법원에 이 같은 의견서를 제출했다.

위인타오는 “중국 정부는 베이징의 바이트댄스 본사를 감시했고 이 회사에 ‘공산주의 핵심 가치관’을 퍼뜨리라며 여러 지침을 하달했다”며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의 중국 앱들을 폐쇄할 수 있는 권한과 미국 내 정보를 포함해 바이트댄스의 모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최상위 권한도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중국 버전인 더우인(音)에서 일본 혐오 동영상을 확산시켰다. 홍콩 민주화 시위를 비판하는 내용을 퍼트리고 시위를 지지하는 콘텐츠는 (검색이 잘 안 되게) 강등했다”고 구체적인 의혹 내용을 폭로했다. 가짜 사용자를 만들어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특정 인플루언서의 계정에 ‘좋아요’를 누르는 등 여론 조작도 저질렀다는 것이다.

위인타오는 이달 초 “회사 부정부패를 폭로했다가 쫓겨났다”며 바이트댄스를 상대로 소송에 나섰다. 그의 폭로는 미국에서 틱톡에 대한 안보 위협론이 커져 ‘틱톡 퇴출’ 요구가 고개를 드는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틱톡은 미국에서만 1억 500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하는 등 ‘MZ세대 필수 앱’으로 자리잡았다. 미국 시장을 장악한 첫 번째 중국 앱이어서 워싱턴 조야에서 견제 움직임이 거세다.
2023-05-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