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트위터·구글 CEO, 28일 미국 상원 청문회 출석

페이스북·트위터·구글 CEO, 28일 미국 상원 청문회 출석

김규환 기자
입력 2020-10-18 15:02
업데이트 2020-10-18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구글과 페이스북, 트위터 등 정보기술(IT)업계 ‘공룡’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콘텐츠 규제 정책과 관련해 미국 상원 청문회 증언대에 오른다. 사진은 청문회 증언대에 서는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구글과 페이스북, 트위터 등 정보기술(IT)업계 ‘공룡’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콘텐츠 규제 정책과 관련해 미국 상원 청문회 증언대에 오른다. 사진은 청문회 증언대에 서는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구글과 페이스북, 트위터 등 정보기술(IT)업계 ‘공룡’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콘텐츠 규제 정책과 관련해 미국 상원 청문회 증언대에 오른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는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와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잭 도시 트위터 CEO가 오는 28일(현지시간) 화상회의로 열릴 이 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이번 청문회는 통신품위법(CDA) 230조를 중심으로 진행돼 의원들은 이들 기업이 자사 플랫폼에서 어떻게 콘텐츠를 규제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추궁할 전망이다.

구글의 경우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플랫폼 유튜브를 보유하고 있다. 이 조항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이용자들이 올린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법적 책임을 묻지 못하도록 면책 특권을 줘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법적 보호막으로 작용했다. 소셜미디어들은 또 이 조항을 근거로 해롭거나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삭제·차단하는 등 자율적으로 규제를 해왔다.

그러나 공화당은 소셜미디어들이 이를 이용해 보수적인 견해를 검열한다며 불만을 제기해왔다. 반대로 민주당 쪽에선 허위 정보 단속에 더 선제적으로 나서라고 촉구하고 있다. 상원 상무위는 이번 청문회가 230조의 책임 면제 조항의 의도치 않은 결과와 함께 열린 논의를 위한 토론장으로 인터넷을 보전할 최선의 방안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위는 공화당이 주도하는데 위원장인 로저 위커 의원은 이들 CEO를 상대로 소환장 발부를 주도하는 등 대선 전 청문회 성사를 압박해왔다. 공화당은 이와 별도로 상원 법사위를 통해 페이스북과 트위터 CEO를 이달 23일 청문회 증언대에 세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한편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최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의 아들과 관련한 의혹을 보도한 뉴욕포스트의 기사를 차단하자 공화당은 이들 회사 CEO 소환에 나섰다. 뉴욕포스트는 관련 이메일을 입수했다며 바이든 후보의 아들 헌터가 우크라이나 기업인을 부통령 시절의 부친에게 소개했다고 보도했으나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관련 링크 공유를 제한하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는 식으로 확산을 막았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