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르담 대성당 주변 납성분 검출 오염 우려 현실화

노트르담 대성당 주변 납성분 검출 오염 우려 현실화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6-05 15:14
업데이트 2019-06-05 15: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발생한 화재로 주변에 사는 아이의 혈액에서 납 성분이 검출돼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첨탑과 목제 지붕이 불에 타 연기에 검게 그을려 있는 모습. 파리 로이터 연합뉴스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발생한 화재로 주변에 사는 아이의 혈액에서 납 성분이 검출돼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첨탑과 목제 지붕이 불에 타 연기에 검게 그을려 있는 모습. 파리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4월 15일 큰 불이 난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주변에 사는 아이의 혈액 속에서 허용치를 초과하는 납 성분이 검출돼 납 오염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파리 보건당국은 4일(현지시간) 노트르담 성당 주변에 사는 7살 미만의 어린이와 임신부에 대해 혈중 납 농도 측정 검사를 권고했다. 보건당국의 이 같은 권고는 노트르담 대성당이 있는 파리 구시가지 시테섬의 한 어린이에게서 납 성분이 허용치(혈액 ℓ당 50㎍)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주변의 토양에서 채취한 샘플과 일부 사무용 빌딩에서도 납은 허용치를 넘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이 아이의 납 허용치 초과가 노트르담 화재 때문인지 정확한 조사에 착수하면서 대성당 인근 어린이와 임신부에 대한 혈액 검사를 권고한 것이다.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로 첨탑과 지붕에 쓰인 납이 대량으로 녹아내렸다. 화재 나흘 뒤인 4월 19일 프랑스 환경단체 ‘로뱅 데 부아’는 최소 300t의 납이 녹아내린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파리 경찰은 지난달 9일 성당 주변의 토양에서 기준치의 최대 67배에 해당하는 납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당국의 샘플검사에 따르면 노트르담 대성당 인근 출입금지 구역에서는 1㎏당 10~20g에 이르는 납이 검출됐다. 프랑스 보건부 정상 기준이 0.3g/㎏임을 감안했을 때 기준치의 67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노트르담 대형 화재로 납 성분이 대기 중으로 퍼졌고 이후에 먼지 형태로 땅으로 내려앉았다는 얘기다.

그러나 프랑스 보건당국은 최근 조사 결과 대기 중에는 납 위험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표적인 중금속인 납은 주로 미세분진에 흡착돼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물·음식을 통해 신체에 유입된다. 오랜 기간 납에 노출되면 빈혈, 생식기능 장애, 사지 마비, 실명, 정신 장애, 기억 손상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