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수장 “尹대통령과 통화…北파병, 중대 긴장고조”

나토 수장 “尹대통령과 통화…北파병, 중대 긴장고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10-21 17:01
수정 2024-10-21 17: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 파병 증거 없다” 신중론에서 입장 전환
“나토-한국 간 긴밀한 파트너십 논의”

이미지 확대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AFP 연합뉴스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AFP 연합뉴스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이 21일(현지시간) “북한이 우크라이나에 파병한 것은 중대한 긴장고조를 의미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뤼터 사무총장은 이날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과 통화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뤼터 사무총장은 “윤 대통령과 나토-한국 간 긴밀한 파트너십과 방위산업 협력, 유로·대서양과 인도·태평양 간 상호 연계된 안보에 대해서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지난 18일 북한이 러시아를 도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1만 2000여명의 병력을 투입하기로 했으며 이미 병력 이동이 이뤄지고 있다고 공식 확인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특수작전부대인 11군단, 소위 폭풍군단 소속 4개 여단 총 1만 2000여명 규모의 병력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하기로 했으며, 러시아 태평양함대 소속 상륙함과 호위함이 북한 특수부대원 1500명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으로 1차 이송한 데 이어 2차 수송 작전이 진행된다. 파병된 북한 군인들은 극동지역에 분산돼 적응 훈련을 받고 있으며, 훈련을 마치는 대로 전선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17일 처음으로 북한이 병력 1만명을 전쟁에 파병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히자 뤼터 사무총장은 “북한군이 전투에 연루됐다는 증거는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이튿날 국정원의 발표 직후 뤼터 사무총장은 “현재로선 북한 주민들이 전쟁에 참여하는 군인으로 활동 중이란 보고를 확인할 수 없다는 게 우리의 공식 입장이지만, 이는 바뀔 수 있다”면서 “분명히 우려스러운 사실로, (파병 관련) 모든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