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의 좌충우돌? “한국을 ‘어리석은 국가’라 했다”

아베의 좌충우돌? “한국을 ‘어리석은 국가’라 했다”

입력 2013-11-15 00:00
업데이트 2013-11-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誌 보도 진위 논란일듯…금융제재 통한 ‘征韓전략’도 거론방일 한국 의원들 만나서는 “연내 정상회담 원한다”

MBN 방송 캡쳐
MBN 방송 캡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국을 형편없는 나라로 깎아내리는 발언을 했다고 일본의 강경 보수 잡지가 보도해 파문이 예상된다.

주간문춘(週刊文春)은 아베 총리가 “중국은 어처구니없는 국가지만 아직 이성적인 외교 게임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은 단지 어리석은 국가”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이 주간지는 14일 발매된 이달 21일 호에 실은 ‘한국의 급소를 찌른다’는 특집 기사에서 아베 총리 주변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렇게 전했다.

아베 총리는 그러나 이날 일본을 방문한 한국 국회의원과 만나서는 한일 관계의 정상화를 위해 연내에 정상회담을 원한다고 발언했다.

주간문춘이 전한 아베 총리의 발언은 그가 한국 의원을 만나서 보인 태도와는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익명의 취재원을 바탕으로 한 주간문춘 보도가 사실인지를 놓고 논란이 일 전망이다.

특히 아베 총리가 실제로 그런 발언을 했다면 한일 관계의 심각한 악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주간문춘은 또 박근혜 대통령이 일본과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곁에 ‘간신’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 필두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라고 헐뜯는 외교 소식통의 발언도 함께 다뤘다.

주간문춘은 이어 일본이 비공식적으로 한국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아베 총리 측근을 인용해 전했다.

주간문춘(週刊文春)은 아베 총리가 “중국은 어처구니없는 국가지만 아직 이성적인 외교 게임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은 단지 어리석은 국가”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런 내용이 포함된 특집기사가 담긴 일본 주간지 주간문춘 2013년 11월 21일 호.  연합뉴스
주간문춘(週刊文春)은 아베 총리가 “중국은 어처구니없는 국가지만 아직 이성적인 외교 게임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은 단지 어리석은 국가”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런 내용이 포함된 특집기사가 담긴 일본 주간지 주간문춘 2013년 11월 21일 호.
연합뉴스


이와 함께 새로운 차원의 “정한”(征韓, 한국 정복·침략)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최근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일본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일본 기업이 배상금을 강제적으로 징수당하면 대항조치는 금융 제재밖에 없다”는 금융 저널리스트 모리오카 히데키(森岡英樹)씨의 견해를 소개했다.

그는 “한국에는 대형 은행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곳이 한 곳도 없고 가장 큰 우리은행이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의 10분의 1 이하 규모”라고 말했다.

주간문춘은 이를 근거로 일본의 금융기관이 한국에 기업이나 경제에 대한 지원·협력을 끊으면 삼성도 하루 만에 무너질 수 있다는 ‘망발’을 늘어놨다.

이 잡지는 “한국이 위안부 문제를 이유로 일본과의 교섭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논의에 응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훈수’를 두기도 했다.

주간문춘의 보도에 대해 한 외교 소식통은 “한일 관계의 회복이 지연되자 마음이 급해져서 온갖 자의적인 전망을 동원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일본잡지협회에 따르면 주간문춘은 올해 3분기 호별 평균 70만1천200부가 발행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