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코로나 병력자 차별·편견에 운다

日 코로나 병력자 차별·편견에 운다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6-11 18:14
업데이트 2020-06-12 06: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퇴원·격리해제 후 복귀하자 사퇴 압력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 연합뉴스
일본 가나가와현에서 일하는 30대 공장 노동자 A씨는 지난 4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11일 동안 병원 신세를 졌다. 퇴원하고 며칠 후 회사 인사 담당자로부터 전화가 왔다. “당신 때문에 공장 생산라인을 전부 소독하고 주변 밀접 접촉자들을 쉬게 하느라 회사가 큰 손해를 봤다. 일부 직원은 출근을 하지 않고 있는데 그게 다 당신 때문”이라고 했다.

A씨는 “명확히 얘기한 것은 아니지만 퇴사하라는 압력으로 느껴졌다”고 말했다. 그는 꿋꿋하게 버텨 지난달 중순 직장에 복귀했지만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사실만으로 그런 대우를 받은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사람들에 대해 곳곳에서 차별과 냉대가 나타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병원 치료를 받고 퇴원했거나 가정 내 격리 등이 해제된 사람은 11일 현재 1만 5300명 정도다.

사이타마현에 사는 40대 회사 대표는 거래처 관계자에게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실을 털어놓았다가 그 사람이 갑자기 말도 없이 사라져버리는 봉변을 당했다.

일본 법무성에 따르면 코로나19 관련 편견·차별 등 사례 상담은 올 2월부터 5월 중순까지 1000건에 이른다. 여기에는 치료를 받고 직장에 복귀한 후 동료들로부터 “가까이 오면 안 돼”, “나한테 옮을라”와 같은 말을 들은 사례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산업보건 컨설팅업체인 OH서포트 관계자는 “코로나19 병력자를 복귀시키려 하자 옆자리 직원들이 ‘못 오게 해 달라’라고 회사 측에 요구해 해당 직원에게 자택 대기 조치를 내린 기업들도 있다”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20-06-1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