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때 日 민간인 전투 참여” 日언론, 美비밀문서 통해 첫 확인

“한국전쟁 때 日 민간인 전투 참여” 日언론, 美비밀문서 통해 첫 확인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6-22 18:06
업데이트 2020-06-23 1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 소년이 추락한 북한의 전투기 잔해 위에 올라 손을 흔들고 있다. 미국 사진기자 존 리치가 한국전쟁 당시 상황을 촬영한 사진집 ‘1950’(서울셀렉션)에 실린 사진이다. 한국전쟁 70년을 맞아 당시를 기록한 사진집을 비롯해 학술서와 구술서, 소설집 등 관련 서적 출간이 활발하다. 전형적인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전쟁의 의미를 좀더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서울셀렉션 제공
한 소년이 추락한 북한의 전투기 잔해 위에 올라 손을 흔들고 있다. 미국 사진기자 존 리치가 한국전쟁 당시 상황을 촬영한 사진집 ‘1950’(서울셀렉션)에 실린 사진이다. 한국전쟁 70년을 맞아 당시를 기록한 사진집을 비롯해 학술서와 구술서, 소설집 등 관련 서적 출간이 활발하다. 전형적인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전쟁의 의미를 좀더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서울셀렉션 제공
한국전쟁 때 일본 민간인 남성 60명이 미군과 함께 한반도로 건너갔고, 이 가운데 18명이 실제 전투에도 참가했던 사실이 새롭게 확인됐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2일 보도했다.

마이니치는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보관된 ‘한국에서의 일본인 무허가 수송과 사용’이라는 제목의 843쪽짜리 미군 비밀문서를 바탕으로 작성한 기획기사에서 “한국전쟁 개전 직후인 1950년 7월쯤 일본 민간인 60명이 한반도에 도항했다가 1951년 1~2월 귀국했다”며 “이들 중 27명이 총, 칼 등 무기를 지급받았고 18명은 전투에서 이를 실제로 사용했다”고 전했다.

마이니치는 “한국전쟁 때 수중 기뢰 제거 및 후방 업무지원 등 과정에서 일본인 57명이 사망한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민간인이 실제 전투에 참가한 사실은 이번 비밀문서를 통해 새로 밝혀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60명 중 48명은 당시 주일 미군기지 직원들이었으며 46명이 10~20대였다. 1명은 사망, 1명은 실종된 것으로 기록됐다. 마이니치는 이들의 도항 경위에 대해 “미군이 공식적으로 데리고 간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관계를 이용해 정식 허가를 받지 않고 대동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문서에 대해 방위성은 “사실관계를 알지 못하고 있어 답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마이니치에 밝혔다. 오누마 히사오 교아이가쿠엔마에바시국제대 교수는 “한국전쟁 당시 옛 소련과 북한이 ‘일본인들이 유엔군으로서 참전하고 있다’고 비난했지만, 직접 전투에 참가했다는 공식 자료는 발견된 적이 없었다”며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20-06-23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