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빈민가의 역설… ‘집단면역’ 생겼나

인도 빈민가의 역설… ‘집단면역’ 생겼나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7-30 19:34
업데이트 2020-07-30 1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뭄바이 3곳 주민 10명 중 6명 항체 형성
인구밀도 높고 위생 열악해 코로나 확산
아파트 등 비슬럼가 주민은 16%에 그쳐

인도 최대 도시 뭄바이의 한 빈민가.  EPA 연합뉴스
인도 최대 도시 뭄바이의 한 빈민가.
EPA 연합뉴스
인도 최대 도시 뭄바이의 빈민가 거주자 10명 중 6명꼴로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가 밀집한 거주지에서 코로나19 집단면역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여서 관심을 끈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및 현지 매체 내셔널 헤럴드에 따르면 뭄바이 주민 6936명을 대상으로 ‘타타 기초 연구소’와 시 당국이 이달 초 혈청 조사를 한 결과 다히사르, 쳄부르, 마퉁가 등 3개 지역 슬럼가 주민의 약 57%가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반면, 비슬럼가 주민의 항체 보유율은 16%에 불과했다. 빈민가 주민의 항체 형성 비율은 지난 4월 미국 뉴욕시 조사 결과인 21.2%, 지난 5월 스웨덴 스톡홀름 14%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특정 지역 내에 집단면역이 형성되려면 항체 보유 주민 비율이 60%는 돼야 한다고 본다. 집단면역은 주민 대다수가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면역력이 생겨 바이러스가 더이상 확산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뭄바이 빈민가 주민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항체 보유율로 코로나19 집단면역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도국립전염병연구소(INEI) 과학자문위원회(SAC) 회장인 자야프라카시 물리일은 블룸버그에 “뭄바이 슬럼가는 집단면역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런 결과는 빈민가에서 그만큼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4월 인도 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확진자는 계속 증가 추세지만, 빈민가의 환자 발생률은 오히려 줄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로 보인다. 코로나19의 평균 치사율은 5.5%에 이르는데 뭄바이의 사망률은 0.05~0.01%에 불과하다.

뭄바이 슬럼가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인구밀도가 높고 위생이 열악하다. 가장 넓은 다하라비의 면적은 여의도의 절반도 안 되는 뉴욕 센트럴파크(3.4㎢) 정도이나 대도시인 샌프란시스코에 육박하는 330만명이 산다. 또 80% 이상이 공중화장실 한 곳을 공유한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