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조작방법 이해 못해 무령왕릉 유물 사진 못 건져”

“카메라 조작방법 이해 못해 무령왕릉 유물 사진 못 건져”

입력 2011-03-02 00:00
업데이트 2011-03-0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고학자 지건길 회고록 출간

1961년 서울대에 고고인류학과가 생겨났다. 그 이듬해 지건길이 입학했다. 학과 교수는 지건길이 졸업할 때까지 김원룡 한 명뿐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 지건길은 무령왕릉 발굴 멤버가 됐다. 하룻밤 만에 후다닥 해치웠다는 점에서 지금도 ‘졸속발굴’의 대표 사례로 거론된다. 더 어이없는 실수는 지건길이 저질렀다.

이미지 확대
1971년 충남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왕비의 관 꾸미개(국보 155호). 그러나 당시 내부 발굴 사진은 거의 없다. 훗날 유명 고고학자가 된 한 젊은이의 웃지 못할 실수 때문이었다.
1971년 충남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왕비의 관 꾸미개(국보 155호). 그러나 당시 내부 발굴 사진은 거의 없다. 훗날 유명 고고학자가 된 한 젊은이의 웃지 못할 실수 때문이었다.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사 시보로 근무하던 시절, 급작스럽게 충남 공주 출장을 명령받고 내려가 백제 무령왕릉에 들어간 그가 맡은 임무 중 하나는 사진 촬영이었다. 하지만 발견 당시 무령왕릉 내부 유물 상태를 보여 주는 사진은 당시 취재기자들이 촬영한 것 외에는 거의 없었다.

이미지 확대
지건길 고고학자
지건길 고고학자
“실내 촬영이 엉터리였다는 것을 알아차린 것은 사무실로 돌아와 필름을 현상한 뒤였다. 새 카메라의 렌즈 쪽에 플래시용 ‘F’와 스트로보용 ‘S’로 표시된 두 개의 작은 잭이 있었는데 플래시를 사용하면서 구분을 명확히 못했던 것이 큰 잘못이었다.”

그렇게 잘못 찍은 사진을 현상해 보니 “상당수 사진이 반 토막으로 찍히고 온전한 것은 몇 안 됐다.”는 게 지건길의 고백이다.

최근 나온 ‘고고학과 박물관 그리고 나’(학연문화사)에 등장하는 내용이다. 훗날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낸 고고학자 지건길(68)은 당시 카메라(아사히펜탁스) 특성상 실내나 조명 사정에 따라 ‘F’와 ‘S’ 잭을 적절히 구분해야 했으나 이를 몰라 사진 한 장 건지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책에는 무령왕릉 뒷얘기뿐 아니라 우리나라 고고학 발굴사에 얽힌 생생한 일화들이 살아 숨쉬고 있다.

“고고학과 박물관은 바로 나의 삶이었다.”는 지 전 관장은 “자그마한 이야기들이라도 후세를 위해 남겨 두고 싶었다.”고 회고록을 펴낸 배경을 설명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3-02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