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진연구의 현주소와 대비책

일본 지진연구의 현주소와 대비책

입력 2012-03-07 00:00
업데이트 2012-03-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다큐 4부작 ‘공포의… ’

7일부터 11일까지 오후 11시 10분 EBS ‘다큐10+’에서는 ‘공포의 대지진’ 4부작을 방영한다. 지난해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파괴력은 놀라웠다. 규모는 9.0에 이르렀고 대지진으로 인한 쓰나미는 2만명에 가까운 사망·실종자를 만들어 냈다. 여기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그야말로 충격적이었다. 언제 복구 작업이 끝날지 아직도 모르고, 일본 경제는 여전히 휘청대고 있다.

이미지 확대
동일본 대지진 당시 상황판에 드러난 지진 현황. 동일본 대지진의 가장 큰 충격은 지진 대비가 완벽했다는 일본이 지진에 무릎을 꿇었다는 점이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상황판에 드러난 지진 현황. 동일본 대지진의 가장 큰 충격은 지진 대비가 완벽했다는 일본이 지진에 무릎을 꿇었다는 점이다.
어쩌면 가장 놀라운 점은 늘 지진과 함께 살아왔고, 그래서 지진에 대한 대비가 완벽하다는 일본이 지진에 무릎을 꿇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구 자체가 움직이기도 하지만, 도시의 확장과 발달이 지진과 쓰나미 피해를 키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한 지 40여년에 이르는 지진 연구의 현주소와 지진 대비법, 피해 최소화법 등을 알아본다.

1편 ‘땅 밑에 숨은 괴물을 찾아서’는 지진 발생 메커니즘을 알아본다. 최근 연구결과들을 총정리하면서 지진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어디까지 와 있는지 살펴본다. 또 더 정확한 지진 예측을 위해 어떤 첨단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지, 일본에서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짚는다. 2편 ‘15초의 진동, 고베를 무너뜨리다’는 1995년 1월 17일 발생했던 한신아와지대지진(고베 대지진)을 집중 분석한다. 현대적 대도시를 파괴하고 6000여명의 인명피해를 일으킨 일본 지진 연구의 전환점으로 꼽힌다. 이 지진의 진동은 단 15초간 이어졌었다. 이 15초간의 진동이 그토록 많은 피해를 준 이유는 무엇일까.

3편 ‘고층건물을 위협하는 장주기 지진동’은 어떤 진동이 현대 도시의 고층빌딩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는지 알아본다. 여러 실험 결과 ‘장주기 지진동’(Troubling Tremors Menace Megacities)으로 드러난다. 주기가 긴 진동이 장시간 지속되는 이 진동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고, 현대 도시에 특별히 위험한 까닭을 분석한다. 특히 일본 지진학자들은 도쿄를 장주기 지진동에 가장 약한 지역으로 꼽는데,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4편 ‘쓰나미가 대도시를 덮칠 때’에서는 지진으로 인한 해일, 쓰나미가 현대 대도시에 끼치는 위협을 알아본다. 이 부분은 최근 들어 더욱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제작팀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일본 고치와 오사카를 사례로 들어 최악의 경우를 상정해 봤다. 얼마나 큰 피해가 우려되고, 어떤 대비책이 필요한지 분석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3-07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