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다보탑 100년 못간다 회신에 복제품 만들라 특명

박정희, 다보탑 100년 못간다 회신에 복제품 만들라 특명

입력 2012-03-22 00:00
업데이트 2012-03-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시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다보탑, 석가탑 복제품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특명으로 만들어졌다. 박 전 대통령은 천년의 세월을 견뎌온 다보탑, 석가탑이 앞으로 천년은 더 갈 수 있는지를 문화재위원회 등에 물었다고 한다. 정영호 단국대 석좌교수의 회고. “간접적으로 이 같은 질문이 내게도 왔는데 당시 석조 문화재 전문가들은 ‘100년도 못 갈 것’이라는 회신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박 전 대통령은 문화재관리국에 1975년 경주박물관의 개관에 맞춰 다보탑, 석가탑 복제품을 만들어 내라는 지시를 한다.

이미지 확대
국립경주박물관 마당에 있는 다보탑 복제품(사진 왼쪽)과 불국사에 있는 진품 다보탑. 복제품은 진품의 실측을 토대로 같은 크기로 1975년 제작됐으며 돌사자를 네 모서리에 배치해 놓았다.
국립경주박물관 마당에 있는 다보탑 복제품(사진 왼쪽)과 불국사에 있는 진품 다보탑. 복제품은 진품의 실측을 토대로 같은 크기로 1975년 제작됐으며 돌사자를 네 모서리에 배치해 놓았다.


이미지 확대


문화재관리국은 그래서 우리 기술진에 의해 처음으로 다보탑, 석가탑을 실측했다. 정 교수는 “그전에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이 약식으로 한 실측 도면이 있었지만 우리 손에 의한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1975년 7월 2일 국립경주박물관 개관식이 성대하게 열린다. 박 전 대통령, 최순우 국립중앙박물관장을 비롯해 대학 총장 및 불국사의 월산 스님 등이 테이프 커팅을 했다. 정 교수는 “나는 문화재 위원 겸 단국대 박물관장 자격으로 참석했는데 그 행사에 박근혜씨가 대통령을 수행해 온 기억이 있다.”고 전했다.

경주박물관 다보탑은 실측 자료를 토대로 진품과 똑같은 크기로 제작됐으며, 네 모서리에 돌사자가 배치돼 있다.

황성기기자 marry04@seoul.co.kr

2012-03-22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