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에베레스트 등정은 성공했을까?

1924년 에베레스트 등정은 성공했을까?

입력 2012-03-22 00:00
업데이트 2012-03-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22일밤 ‘다큐10+’

1953년 뉴질랜드의 에드먼드 힐러리(1919~2008)와 셰르파 텐징 노르가이가 최초로 등정한 이후 많은 산악인들이 세계의 꼭대기에 올라가려고 도전하고 있다. 초모룽마(티베트), 주무랑마(중국), 사가르마타(네팔) 등으로도 불리는 8848m의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얘기다.
이미지 확대
1924년 6월 영국 에베레스트 제3차 원정대의 조지 맬러리(오른쪽)와 앤드루 어빈이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했을 것이라는 주장은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EBS 제공
1924년 6월 영국 에베레스트 제3차 원정대의 조지 맬러리(오른쪽)와 앤드루 어빈이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했을 것이라는 주장은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EBS 제공


하지만 9차 원정대였던 힐러리의 최초 등정보다 29년 앞선 1924년 6월 8일 영국 등반가 조지 맬러리(1886~1924)의 등반대(3차 원정대)가 에베레스트에 도전해 ‘고지’를 눈앞에 뒀었다. 맬러리는 6월 8일 새벽 해발 8100m의 최종 베이스캠프를 떠났다. 당시 맬러리는 옥스퍼드대 학생이던 22세의 앤드루 어빈(1902~1924)을 등정 파트너로 선택했다. 두 사람은 그후 돌아오지 못했다. 어빈의 피켈만 1933년에 발견됐다.

1999년 영국 BBC 다큐멘터리 팀이 미국, 영국, 독일의 산악인을 모아 맬러리, 어빈 수색 원정대를 꾸렸다. 이 원정대에서 자료 수집과 연구를 맡은 산악 역사가 요한 헴렙은 1933년 피켈이 발견된 장소와 주변 인물의 증언을 토대로 두 사람이 추락했을 만한 경로를 추측했고, 그곳에서 엎드려 있는 미라 상태의 맬러리를 발견했다.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어빈의 시신과 그가 갖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카메라를 찾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그 카메라는 맬러리와 어빈이 정상을 밟고 조난당했는지를 확인해 줄 증거다.

22일 밤 11시 10분에 EBS에서 방송되는 ‘다큐 10+: 1924년 에베레스트 등정기’는 2010년 헴렙이 참여한 어빈 수색 원정대의 활동을 담았다. 헴렙은 1960년 에베레스트에서 어빈으로 추정되는 시신을 목격했다는 중국 산악인 쉬징의 증언을 토대로 어빈의 위치를 추적해 나간다. 또한 맬러리와 어빈이 1924년 당시 지나간 루트를 되짚어 보며 두 사람이 에베레스트 등정에 성공했는지, 어떻게 비극적인 최후를 맞게 됐는지 추리한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3-22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