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이범선 미발표 유작 ‘나의 피난기’ 발굴

작가 이범선 미발표 유작 ‘나의 피난기’ 발굴

입력 2012-03-22 00:00
수정 2012-03-22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계간 ‘본질과 현상’서 공개..”이범선이 작가 된 이유 담겨”

‘오발탄’, ‘학마을 사람들’을 남긴 소설가 학촌(鶴村) 이범선(1920-1982)의 미발표 유작이 공개됐다.

계간지 ‘본질과 현상’은 봄호에서 이범선의 1959년도 유작 ‘나의 피난기’를 공개했다.

이 글은 한국 전쟁을 몸소 겪은 이범선이 1·4 후퇴로 다시 서울을 뺏기자 가족을 이끌고 피난길에 올랐던 경험을 남긴 자전적 기록이다.

이범선은 이 글의 서문에서 “나의 평생에 있어 너무나도 기막히는 일이었기에 나는 여기 이것을 기록하여 자손들에게 영원히 남겨주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는 6·25라는 비극적 체험을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이범선의 고백과도 일맥상통한다.

1950년 12월, 중공군이 남하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이범선은 아내와 두 아이를 이끌고 한강을 건너 피난을 결심한다. 그해 6월 전쟁의 포화로 모든 것을 잃었던 끔찍한 기억 때문이다.

한강을 건너 노량진으로 가야 하건만 ‘제2 국민병’으로 돼 있어 징집 대상인 학촌은 경찰이 다리를 지키는 통에 선뜻 나설 수 없다. 결국 처자식을 먼저 수원의 지인에게 보내고 홀로 한강 이북에 남는다.

두고두고 처자식을 떠나보낸 것을 후회하던 그는 결국 탈북 피난민으로 위장, 징병을 피해 가족과 다시 만나게 된다.

가족을 만나고자 떳떳하지 못하게 징집을 피한 것에 대한 마음의 갈등, 피붙이 형제마저 등을 돌리게 하는 처참한 전쟁의 상흔 등을 현실적인 문체로 담았다.

김영성 ‘본질과 현상’ 편집장은 “’나의 피난기’는 이범선이 작가의 길을 선택하게 된 직접적인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록”이라고 평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