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교회-작은교회 상생법은

대형교회-작은교회 상생법은

입력 2012-04-18 00:00
업데이트 2012-04-18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목회포럼 양극화 방안 찾기

한국 개신교계의 양극화 현상은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특히 교세가 확연히 줄면서 존폐의 기로에 선 소형 교회들이 부쩍 늘고 있다. 교계는 5만여개의 한국교회 가운데 해마다 1000여개가 문을 닫거나 이전 위기에 처한 것으로 관측한다. 그런 가운데 미래목회포럼(대표 정성진 목사)이 실질적인 대안 찾기에 나서 주목된다. 오는 27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연지동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서 여는 ‘한국교회 양극화, 그 대안을 찾다’라는 주제의 포럼이 화제의 행사다.

미래목회포럼은 한국교회의 미래를 걱정하며 기도하는 15개 교단의 중견 담임 목회자 300여명이 의기투합해 2003년 창립한 단체. 초대 교회의 성경적 모습을 회복하자는 큰 뜻에 맞춰 한국교회의 미래비전과 방향 설정에 앞장서며 개신교계의 눈길을 끌어왔다.

미래목회포럼이 이번 포럼에서 악센트를 둔 부분은 작은 교회와 대형교회의 실천가능한 공존과 상생법이다. 미래목회포럼이 그동안 펼쳐 온 교회의 공존과 상생 노력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구체적 방안을 짜자는 것이다. 실제로 대형교회와 작은 교회의 교류·지원은 많지 않지만 점차 늘고 있는 추세. 서울 산정현교회가 전북 진안의 금양교회와 자매결연을 맺어 이 교회 신자들이 정기적으로 방문해 예배를 드리고 직거래 장터를 열고 있는 게 대표적 사례다. 산정현 교회의 시도는 강원, 충청도 등 전국으로 확산되는 추세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분당우리교회의 지역사회 섬기기 행사인 ‘요셉의 창고 열기’ 운동은 중대형 교회들이 앞다퉈 벤치마킹하는 프로젝트로 꼽힌다.

이번 포럼은 이 같은 작은 움직임들을 규합해 교계 전체로 확산시킬 방안을 마련하자는 자리. 남재영(대전 빈들교회) 목사가 양극화 현상의 문제점, 김경호(들꽃 향린교회) 목사가 분립개척을 통한 대안, 김관선(산정현교회) 목사가 도농교회 상생방안, 서길원(상계감리교회) 목사가 작은교회 살리기를 통한 부흥, 해비탯 이창식 부이사장이 사랑의 집짓기를 통한 지역교회 지원 방안을 꼼꼼히 짚는다.

미래목회포럼 이사장 최이우(종교교회) 목사는 “작은 교회 목회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목회자로서의 소명감과 자부심인 만큼 이들이 직접 프로젝트를 만들고 실행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동역하는 게 상생목회의 좋은 방법”이라고 밝혔다.(02)762-1004.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4-18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