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제일 비색, 고려청자 속살

천하제일 비색, 고려청자 속살

입력 2012-10-22 00:00
업데이트 2012-10-22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비색청자展

중국 송나라에 이어 9세기 말~10세기 초에 청자를 굽기 시작한 고려는 12~13세기 무렵에는 종주국인 송나라를 따돌리며 청자의 색깔과 다양한 형태에서 놀라운 성과를 보여준다. 특히 12세기 중엽 고려 상감청자는 세계 도자사에도 상당히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이미지 확대
청자 인물형 주자(왼쪽부터),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 청자 구룡형 정병.
청자 인물형 주자(왼쪽부터),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 청자 구룡형 정병.


●23년만에 국내展… 향로·연적 등 다양한 작품 350여점

국보 18점과 보물 11점,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고려청자 2점을 포함해 국보·보물에 준하는 고려청자 350여점이 한자리에 모였다. 특히 일본으로 반출돼 일본 중요문화재로 선정된 12세기 작품인 ‘청자 구룡형 정병’은 일본에 소재하는 안견의 ‘몽유도원도’만큼이나 구경하기 쉽지 않은 작품으로, 국내에 처음으로 전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지난 16일부터 진행한 고려청자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天下第一 翡色靑磁)이다. 1989년 ‘고려청자 명품’ 특별전 이후 23년 만의 전시회이다.

전시 이름은 송나라 태평 노인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책 ‘수중금’(袖中錦)에서 따온 것으로, 그는 고려청자가 중국의 송 청자를 제치고 천하제일로 꼽혔다고 노래했다.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온 서긍(1091~1153)도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서 “도기의 푸른 빛을 고려인은 비색이라고 말한다(陶器色之靑者麗人爲之翡色).”라고 기록했다. 박물관은 “송나라의 청자는 화장을 짙게 한 여인이라면, 고려청자는 얼굴의 주근깨가 보이도록 얇게 누드화장을 한 여인”이라고 설명했다.

●日 중요문화재 ‘청자 구룡형 정병’ 국내 첫 전시

색깔도 비색이지만 고려청자의 특징은 다양한 도자기의 형태에서 찾을 수 있다. 박물관 소장 ‘청자 인물형 주자’(국보 167호)와 청자 어룡형 주자(국보 61호), 청자 사자장식 향로(국보 60호), 청자 투각칠보문 향로(국보 95호)와 간송미술관의 청자 모자원형 연적(국보 270호), 개인소장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국보 173호), 앞서 말한 일본의 ‘청자 구룡형 정병’과 오사카 시립동양도자미술관의 ‘청자 동자·동녀형 연적’ 등이다.

상감청자는 화려함에서도 최고지만, 당대 기술력의 상징이기도 하다. 흙그릇을 초벌구이 하면 크기가 23% 정도 줄어든다. 이 초벌구이에 흙의 축소비율이 다른 백토와 흑토를 채워넣어 장식한 뒤 재벌구이를 하면 2차 축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자칫 망가지기 십상이다. 도자기 장인들이 섭씨 1300도 이상에서 도자기가 터지지 않을 그 황금비율을 잡아낸 것이야말로 기술이었다. 전시는 오는 12월 16일까지.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10-22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