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家 미술품 압류 등 악재에 화랑가 ‘울상’

전두환家 미술품 압류 등 악재에 화랑가 ‘울상’

입력 2013-07-17 00:00
수정 2013-07-17 1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두환 전 대통령 일가의 은닉 재산 수사 과정에서 고가의 미술품 컬렉션이 실체를 드러내면서 화랑가는 잇단 악재에 울상이다.

최근 CJ그룹의 탈세·횡령 의혹 수사 과정에서 미술품이 비자금 조성 수단으로 악용됐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국내 미술시장은 급격히 얼어붙었다.

그 여파가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전 전 대통령 일가가 수집한 고가의 미술품이 재산 은닉이나 증식에 사용된 것 아니냐는 의혹마저 일면서 화랑가에는 위기의식이 감돌고 있다.

한국화랑협회 표미선 회장은 “화랑들은 이제 갈 곳이 없다. 컬렉터들도 미술 쪽으로 쳐다보면 큰일이 날 것처럼 생각하니 너무 어렵다”며 “CJ 사건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또 이런 일이 터지니 정말 숨도 못 쉬겠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통의동의 한 화랑 대표도 “서미갤러리 사건 이후 미술시장은 줄곧 침체 일로를 걷고 있다. 미술 문화가 건전한 방향으로 소개돼야 하는데 계속 부정적인 사건에 연루되니 작가도 화랑도 분위기가 침체할 수밖에 없지 않겠나”라고 했다.

그는 “소장가 대부분 그림이 좋아서 순수한 목적으로 수집한다. 미술시장이 살아나야 좋은 작가도 계속 육성할 수 있을 텐데 미술시장의 건전한 측면은 조명되지 않고 일부 부정적 사건만 부각되니 안타깝다”고 했다.

팔판동의 한 화랑 대표는 “서미갤러리 사건 이후 고객의 발길이 끊어졌다. 미술시장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환경에서 대다수 건전한 컬렉터들이 미술품 수집에 회의를 느끼고 있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전재국 씨나 일부 대기업의 소장품은 대부분 소위 잘나가는 작가들의 작품들인데 어려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대다수 작가까지 설 자리가 없어지고 있다”며 “악재를 이겨내고 건전한 작가와 화랑, 컬렉터들이 더 많다는 점을 알려 그들이 미술시장을 이끌어가는 시대를 열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잇단 사태를 계기로 미술시장의 자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인사동의 한 화랑 대표는 “제도적인 문제로 우리 사회에서 미술품은 여전히 돈 많은 사람들의 영유물로, 비자금을 만드는 수단처럼 인식되고 있다”며 “어차피 지나야 할 과정이라면 잘 넘겨서 미술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미술평론가 최열 씨는 “화랑가가 미술시장이 호황을 누린 지난 20여 년간 소위 블루칩으로 불리는 작가들에만 집중하면서 미술품의 미술사적 가치와 시장적 가치의 균형을 제대로 잡지 못했다”며 “예술성보다 상품성만 중시하다 보니 미술품이 투기상품화된 경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술시장이 호황을 누릴 때 예술성과 대중성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지 않아 미술시장의 가격 구조가 무너졌고 미술품이 비자금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라며 “화랑가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고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