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D 방송 목숨 걸던 지상파, 잠시 숨 고른 까닭은

UHD 방송 목숨 걸던 지상파, 잠시 숨 고른 까닭은

입력 2013-09-02 00:00
업데이트 2013-09-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00㎒ 주파수로 종합플랫폼 구축해 소비자 비용 절감하자”

초고화질(UHD) TV 방송을 위해 700㎒대역 주파수 확보에 사활을 걸었던 지상파 방송사들의 움직임에 미묘한 변화가 일고 있다. 무료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와 함께 강조해 온 UHD 방송을 잠시 옆으로 미뤄 놓고 ‘종합플랫폼 구축’이란 새로운 명분 쌓기에 나선 것으로 관측된다.

박진우 KBS 미디어정책부장은 최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방송학회 토론회에서 “700㎒대역 중 (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사에 넘기고 남은 52㎒폭을 확보한다면 (UHD 방송뿐만 아니라) 고정·이동식 HD 방송, DMB, 라디오 등을 포괄할 수 있는 종합플랫폼 주파수로 활용할 수 있다”며 이 같은 분위기에 불을 댕겼다. 700㎒가 종합플랫폼 주파수로 활용되면 소비자 입장에서도 비용이 절감돼 이익이라는 설명이다.

KBS는 이 같은 의견을 아이디어 차원에서 방통위에 전달하고 MBC, SBS 등 다른 지상파와도 의견을 모아 가고 있다. 그동안 지상파 방송사들은 UHD TV 방송을 하려면 700㎒대역 주파수 확보가 선결돼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

지상파 방송사의 미묘한 입장 변화는 안팎에서 불거진 UHD 방송에 대한 논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때 1000만원을 호가하던 UHD TV는 최근 삼성, LG 등의 가전사가 경쟁적으로 가격을 내리면서 절반 이하로 몸값이 뚝 떨어졌다. UHD 방송을 위한 좋은 여건이 마련된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방송의 실효성 측면에선 이견이 분분하다. 이경재 방통위원장이 미래창조과학부의 UHD TV 상용화 추진에 대해 “미국도 아직 상용화에는 부정적”이라며 ‘시기상조론’을 내세운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이견을 종합하면 UHD 방송은 과거 일반 방송에서 HD 방송으로 넘어가는 것과 같은 일대 혁신이 아니라 단지 액정디스플레이(LCD)를 기반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로 옮겨 가는 과도기 방송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풀HD보다 4배가량 높은 해상도를 앞세우는 UHD이지만 해상도를 제외하곤 명암비나 색의 깊이 등이 OLED TV에 뒤진다는 점에서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얻는다. 가전업계에선 UHD TV를 올해 초까지 붐이 일었던 마케팅 상품인 3D(3차원) TV, 스마트 TV와 같은 선상에 놓고 본다.

케이블과 위성 등 유료방송이 앞다퉈 UHD 시범 방송을 개시한 가운데 KBS만 홀로 실험 방송을 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처지도 주파수 대역 확보를 위한 추진 동력 다원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한편 미래부와 방통위는 최근 700㎒ 대역의 활용 방안을 놓고 이달까지 학계,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담 연구반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연구반의 의견을 수렴해 연내에 입장을 확정할 방침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9-02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