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 작품 47억2천만원에 낙찰..국내작가 경매 최고가

김환기 작품 47억2천만원에 낙찰..국내작가 경매 최고가

입력 2015-10-05 22:20
업데이트 2015-10-05 2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환기 작가(1913-1974)의 작품이 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를 바꿔놓았다.

미술품 경매 전문회사 서울옥션이 5일 홍콩에서 실시한 경매에서 김환기의 1971년작인 전면 점화 ‘19-Ⅶ-71 #209’가 3천100만 홍콩달러, 한화 약 47억2천100만원에 낙찰됐다.

이로써 이 작품은 2007년 5월 45억2천만원에 낙찰된 박수근 화백의 ‘빨래터’를 제치고 국내 작가 미술품 중 경매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서울옥션 관계자는 전했다.

이날 경매에서 시작가 약 30억원(2천만 홍콩달러)에 나온 이 작품은 국내외 응찰자들의 경합 끝에 아시안 컬렉터에게 낙찰됐다.

이 작품은 단색화 열기의 물꼬를 튼 전시로 평가받는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단색화 전시에 출품됐던 4점 중 한 점이다. 지금까지 시장에 나온 김환기 작가의 전면 점화 가운데 가장 큰 대작(大作)이다.

지금까지 경매에서 최고가로 낙찰된 김환기의 작품은 ‘꽃과 항아리’ 80호로 30억5천만원에 팔려나갔다.

서울옥션 관계자는 “이번 경매로 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 기록이 만 9년만에 깨지게 됐다”며 “김환기 작품이 해외 경매에서 높은 가격에 낙찰됨에 따라 국내 작품에 대한 해외 컬렉터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경매에서는 김환기를 비롯, 국내 단색화 작가들의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시작가 약 6억원(400만 홍콩달러)에 나온 정상화의 ‘무제 05-3-25’는 11억4천200만원(750만 홍콩달러)에 낙찰됐다.

이날 경매에서 최고가를 기록한 작품은 프랑스 태생의 미국 추상표현주의 조각가인 루이스 부르주아의 콰란타니아(Quarantania)로 약 45억원(3천만 홍콩달러)에 경매가 시작돼 54억8천만원(3천600만 홍콩달러)에 주인을 찾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