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세계적 약물스캔들 모두가 공범이다 -챔피언 프로그램

[새영화]세계적 약물스캔들 모두가 공범이다 -챔피언 프로그램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5-10-27 15:44
업데이트 2015-10-27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기 한 스포츠 경기가 있다. 100년 넘는 전통을 자랑한다. 약 3주간에 걸쳐 사이클을 타고 프랑스를 일주하는 대회다. 해마다 7월에 열린다. 하루에 한 구간씩 모두 3000~4000㎞를 달린다. 해발고도 2000m 이상의 산악 코스가 가장 어려운 구간. 인간의 한계를 넘나드는 지옥의 레이스라고 불린다. 모든 구간을 가장 짧은 시간에 주파한 선수가 영광의 노란색 상의를 입는다. 투르 드 프랑스다.

이미지 확대
 여기 한 남자가 있다. 20대 초반 사이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실력을 뽐내던 찰나 고환암 말기 판정을 받았다. 한쪽 고환을 떼어냈다. 암이 머리까지 번져 뇌 조직 일부도 떼어냈다. 평범한 사람이었다면 일상생활도 힘들었을 터. 그는 3년 만에 선수로 복귀해 그 어렵다는 투르 드 프랑스에서 1999년부터 7년을 내리 우승하는 기적을 쓴다. 암 환자를 돕는 재단까지 만든다. 단순한 스타를 뛰어넘어 인간 승리와 인간애의 표본이 된 것이다. 그런데 이 모든 게 약물로 얼룩진 신화였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진다. ‘사이클 황제’ 랜스 암스트롱이다.

 28일 개봉하는 ‘챔피언 프로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충격을 안긴 암스트롱의 약물 스캔들을 집중 조명한다. 사이클 선수로서 살리에리 같은 재능은 있었으나 모차르트 같은 천재성은 없었던 암스트롱이 약물의 힘을 빌리고, 또 스포츠 비즈니스를 통해 영웅으로 포장돼 가는 과정을 면밀하게 해부한다.

 미국 스포츠 스타 이야기지만 영국(워킹타이틀)에서 영화를 만들었다. 유럽인 입장에선 자신들이 무한한 애정과 자부심을 갖고 있었던 투르 드 프랑스에 관한 영화가 미국적인 관점에서 빚어지는 게 용납되지 않았을 듯하다. 그래서인지 카메라는 투르 드 프랑스의 세계화를 견인하기는 했으나 한편으로는 깊은 생채기를 낸 암스트롱을 냉랭한 시선으로 좇는다. 대회 부분은 유려하고 역동적인 영상미를 뽐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느낌이다.

 영화는 암스트롱을 위한 어떠한 변명도 해 주지 않는다. 약물을 선택하기까지 고민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는 모습은 찾기 힘들다. “나 혼자 한 게 아니다. 모두가 도핑을 했다. 모두가 알고 있었다”고 되뇌는 장면에서는 파렴치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자신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도핑을 교묘하게 진두지휘하는 모습은 상당히 충격적이다.

 ‘호스티지’ ‘엑스맨-최후의 전쟁’ ‘3:10 투 유마’ ‘론 서바이버’ 등의 조연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벤 포스터가 두 얼굴을 지닌 스포츠 스타 역할을 연기했다. 연출은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 등으로 영국을 대표하는 거장 반열에 오른 스티븐 프리어스가 맡았다. 104분. 12세 이상 관람가.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